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23.05.31

구름의 모양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구름도 여러가지 모양이 있습니다. 동그란거 긴거 큰거 작은 것 등 이런 모양들은 어떤 원리로 결정되나요? 한번 정해지면 쉽게 바뀌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크게 권운형, 층운형, 층적운형, 적운형으로 구분하며 고도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 수직운 이렇게 네 가지로 나뉜다. 구름의 높이는 밑면에 따라 결정되며

    모양은 바람에 따라 결정된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의 모양은 주로 대기 상태, 기후 조건, 공기의 상승과 냉각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모양은 대기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기 중의 습도, 온도, 기압 등이 구름의 형태와 특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동그란 모양의 구름은 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기층에서 형성되며, 수증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압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긴 모양의 구름은 수직적인 대기 운동과 관련되어 있으며, 대기층 내에서 수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공기 운동에 의해 형성됩니다. 구름의 크기와 작은 모양은 수증기의 농도와 압력 등과 같은 미세한 차이로 인해 결정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구름은 공기 상승 및 단열 팽창의 조합으로 만들어집니다.

    지표면의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주변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공기 덩어리가 팽창하고 기온은 떨어지며 이슬점에 도달하여 수증기가 응결하며 구름이 생성되는 것이죠.

    이후 구름이 기류에 따라 위치가 정해지고 그 과정에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흐르거나 뭉치며 모양이 정해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구름의 모양은 가변적입니다. 즉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바람과 기류에 따라 그 형상이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응결되어 형성됩니다. 온도, 습도, 대기압 등의 대기 조건은 구름의 모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높은 곳에서 응결이 빠르게 일어나면 축적구름과 같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모양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물방울, 빙정 등이 서로 충돌하거나, 떠다니며 서로 결합하면서 형성됩니다.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공기 중에서 응축되어 물방울이나 빙정으로 변환되면서 형성됩니다. 이러한 구름의 형태와 높이는 대기 상태, 온도, 습도, 풍속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큰 구름이나 작은 구름, 흰 구름이나 어두운 구름 등 구름의 종류도 다양한데, 이는 구름의 높이와 함께 구름이 형성되는 대기층과 기상 조건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적운은 저기압 상황에서 많이 발생하는 대기층에서 형성되며,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밝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에, 적란운은 고기압 상황에서 형성되며, 대기가 매우 건조하고 안정적인 상황에서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