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신중한잠자리251
신중한잠자리251
22.11.11

원•달러 환율이 오늘 50원 급락했는데 우리나라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원•달러 환율이 오늘 50원이 급락하며 13년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는데요 환율이 떨어지면 우리나라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환율 하락은 미국 CPI지표가 예측치인 8%보다 낮은 7.7%로 나오면서 향후 12월 14일에 예정된 FOMC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속도가 완화될 것이란 기대가 커지게 되었습니다. 즉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속도 완화에 따른 달러환율의 약세와 미국기준금리 인상속도 완화는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속도도 완화될수 있다는 말이됩니다.

    즉, 환율하락으로 인한 원자재매입 가격 하락으로 물가안정이 가능해지고, 금리속도 조절로 인해서 소비침체에 따른 경기침제에 대한 속도조절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즉 우리나라 경제에게는 숨통이 조금 틔이게 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어서 매우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환율이 너무 높은 상태이기에 환율의 하락은 호재로 볼 수 있습니다.

    지금같은 환율의 상황에서는 수입물가의 상승으로 인하여 수출을 주로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마진율이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와중에 수출물품의 가격은 원자재 상승을 그대로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익이 더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는 수출물품의 실제 수취액이 줄어든다 하더라도 그이상으로 수입물가가 잡히는 것이기에 이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환율이 그동안 너무 많이 올라서 조정을 하루에 확 받은 것이라 할 수 있으며(* 1,400원까지 너무 빨리 올랐습니다. 조정은 당연합니다.), 이정도 수준도 고환율이므로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입니다. 수입단가가 낮아져 경상수지 흑자 기조에 기여할 수 있으며, 기업의 수출 경쟁력도 이정도 환율 수준이라면 무리없이 좋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1.1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아직 크게 하락한것은 아니어서 크게 영향은 없지만 향후 원-달러 환율이 크게 하락하면 수출기업의 수입은 그만큼 줄어들게 됩니다. 외국에서 달러로 받는 돈은 같지만 원화 가치가 상승했기 때문에 국내에서 원화로 환전할 때 수입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제품 가격이 상승하여 수출이 줄어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