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상승에 따른 상대 습도, 절대 습도, 수증기량, 온도, 기압의 영향을 모르겠습니다..
공기가 상승하면 상대습도는 상승하나요? 하강하나요? 일정한가요?
공기가 상승하면 절대 습도는 상승하나요? 하강하나요? 일정한가요?
공기가 상승하면 수증기량은 상승하나요? 하강하나요? 일정한가요?
공기가 상승하면 온도는 상승하나요? 하강하나요? 일정한가요?
공기가 상승하면 기압은 상승하나요? 하강하나요? 일정한가요?
상대습도, 절대습도에 대한 부분이 가장 헷갈립니다.
수증기량은 줄어드는 것 같기는 한 데 왜 그런지 잘 모르겠어요.
온도랑 기압 둘 다 상승하는 거 맞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고로유연한백만장자님 :)
먼저 절대습도란 공기 1kg 속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g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상대습도는 공기의 습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현재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실제 수증기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상대습도는 기온에 따라 변화하며, 같은 양의 수증기라도 온도가 낮을수록 상대습도는 높아집니다. 공기가 포화상태에 이르면 상대습도는 100%가 되며, 이때 공기의 이슬점과 같습니다. 따라서, 공기가 상승하면 상대습도는 하강하게 되겠지요. 상대습도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의 양이 공기가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에 비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공기가 상승하면 주변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부피가 팽창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온도가 하강합니다. 온도가 하강하면 공기가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대습도는 상승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라며 :)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