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술은 왜 추상적인 작품이 많은걸까요?
그림하면 사물을 잘 묘사하는 정물화나 풍경화밖에 잘 모르는 사람입니다.
과거의 작품들을 보면 사물을 감각적으로 잘 묘사하는 작품들이 많은데 현대로 넘어 오면서 대부분의 작품들이 추상적으로 변해 버립니다.
우리나라의 유명한 윤형근 화백님의 그림만 봐도 거의 검정색의 네모만 있습니다.
도저히 내용을 잘 알수가 없는데 왜 현대 미술은 이런 추상적인 작품이 많은 것일까요?
기존의 미술 양식은 사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중시했으나, 현대 미술가들은 이러한 방식에 한계를 느끼고 새로운 방식을 추구하게 되었습니다.
20세기 이후 사진이 등장하면서 회화가 더 이상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임무를 맡지 않게 되자 미술은 대상을 얼마나 사실적으로 그리느냐의 문제에서 벗어나 조형미나 개념을 탐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습니다.
점선면색의 아름다움 그 자체를 탐구한 추상미술이나, 마르셀 뒤샹 이후 미술의 주요 경향이 된 개념미술이 대표적인 예로 현대미술은 탈근대미술(포스트모던 미술)과 그 시기가 겹칩니다.
현대미술은 예술가들이 새로운 시도와 실험적인 작품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다양한 장르와 형식으로 나타납니다. 회화, 조각, 설치미술, 퍼포먼스, 사진, 비디오, 디지털미술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그 경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작품 형식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 현대미술에는 추상적인 작품외에 묘사위주의 구상 그림도 많습니다.
1900년 이전부터 기존의 묘사위주의 작품들이 많이 사라지고 개성적 표현들이 많이 나타납니다.
이런 모더니즘은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미술사조에 빠른 변화가 일어났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아방가르드를 지향하는 미술가들이 나타나게되었습니다. 추상표현주의 이후 미니멀리즘까지 유행을 거쳐왔습니다.
이러한 추상적 유행은 과거 묘사작품의 답습이 매너리즘이 되어서 나타난 엘리트문화입니다. 이점이 현대에 와서 대중들에게 난해함으로 전개되었기에...
현대미술은 오히려 이런 과거 모더니즘 시대의 유행보다 더욱 개인의 모든 자유표현을 포함하여 나타나는데 이런 현대미술의 시점을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의도는 어떤 말씀인지 이해가 잘 갑니다. 하지만 현대미술은 정말 다양하게 많은 개성으로 진행중입니다.
추상적미술도 일부 하나의 개성으로 받아드려보시고 그 외에 더 많은 다양한 작품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