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와 이스라엘이 OECD DAC에도 가입할거 같아요.
1996년에 우리나라 OECD 가입으로 선진국으로 인정받게 되었고 2000년에 수혜국을 졸업했는데 1996년에 OECD 가입할때, 2000년에 수혜국 졸업했을때 OECD DAC에 가입하지 않았는데 2010년에 2022년 ODA/GNI 비율이 0.17%여도 OECD DAC에도 가입했어요.
OECD 가입이 민주주의, 인권, 시장경제 등이 모두 맞아야 하고 만장일치로 가입이 결정되야 하는 등 절차가 매우 까다로운데 튀르키예는 1961년에 서구 선진국들이 가입할때 창립멤버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0년에 OECD에 가입했으므로 이스라엘 튀르키예는 각각 이스라엘 : 스타트업, IT, 항공 등 첨단기술 강국, GNI 5만달러대의 선진국, 튀르키예 : ODA/GNI 규모가0.79%로 OECD가 정한 ODA/GNI 비율 0.7% 문턱을 넘음, 세계 10대 ODA 공여국에 들어가고 OECD에 가입한 이후 OECD DAC에도 가입해 OECD의 거의 모든 나라가 가입해 튀르키예, 이스라엘은 OECD DAC에 가입할 가능성이 있어
가입이 유력할 것 같은 튀르키예, 이스라엘은 가입 가능성이 아까 말한 걸로 있는지 알려주고 몇 년후에 OECD DAC에 가입할 것 같은지 가입하기 어려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경훈 전문가 입니다.
OEDC DAC = 개발원조위원회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여야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이 조건으로는 공적개발원조 ODA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하며, 정책과 체재를 갖추어야 하며, 해당 DAC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정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현재까지 학술논문이나 기사를 검토했을때 튀르키예와 이스라엘이 역사적 정치적 이슈에 따라서 가입여부는 현재까지 불투명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