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멋진동박새120
멋진동박새12019.05.31

하드포크 도중에 결함이 생겨 버린다면.

안녕하세요

비트코인이 sv로 나뉜것을 하드포크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드포크 도중 버그나 인터넷상 오류로 인해 문제가 하드포크를 못하게 된다면 어떻게 처리를 하는 건가요??

예를들어 비트코인을 하드포크중에 해커가 해킹을 시도 함으로서 고객들의 비트가 사라진다면..

어떻게 처리 되는 것일까요?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하드포크 도중에 결함이 생기는 경우에 대해 문의하셨는데요.

    실제로 이더리움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시 보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감지하여 하드포크가 중단이 되었습니다.

    연기 결정은 블록체인 분석플랫폼 체인시큐리티가 "이번 하드포크가 이뤄질 경우 체인에 이미 존재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중 일부가 재진입 공격(re-entrancy attack)에 노출될 수 있다"고 발표한지 9시간만에 내려졌다. 이더리움 측은 "개발자, 보안전문가, 커뮤니티 멤버들이 일시적으로 연기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3788115

    그리고 이더리움의 경우 2016년 7월 DAO 해킹상태가 발생이 되어 이더리움을 해킹당한 투자자들을 위해 피해자들이 ETH를 돌려받을수 있는 하드포크를 진행하여 해킹당한 ETH를 휴지로 만드는 하드포크가 2016년 7월 20 일 진행되었습니다.

    뽀빠이님께서 문의 하신 최악의 사태 발생시 위의 방법이 제시될수도 있을겁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자께서 질문해주신 내용을 중심으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하드포크 도중 버그나 인터넷상 오류로 인해 문제가 하드포크를 못하게 된다면 어떻게 처리를 하는 건가요?

      1. 일반적으로 하드포크를 한다는 것은 체인의 '분기(나뉘어서 갈라짐)'를 의미하는데요, 하드포크의 경우 그러한 분기점이 '새로운 블록'이 되고 해당 블록을 기준으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며 포크가 이루어집니다.

      2. 이처럼 하드포크 시점을 미리 예고하고 변경된 내용으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변경된 내용이 포함된 새로운 블록이 만들어지게 되고 두 체인으로 분리가 되는 것입니다.

      3. 이더리움의 하드포크를 예로 들어보면 2018년에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를 메인넷에서 단행하기 전에 테스트넷에서 먼저 하드포크를 진행한 적이 있는데 이때 마이닝 노드들이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지 않음으로써 예정된 블록에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여 블록의 생성이 지연되었고 결국 하드포크가 미뤄졌던 사례가 있습니다.

      4. 또한 그 이후로 2019년 1월에 또다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한 차례 더 연기된 바가 있고 올해 2월에야 하드포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있습니다.

      5. 그렇다면 앞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버그, 인터넷 상의 오류, 해킹'으로 인한 하드포크의 실패 가능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버그의 경우에는 테스트넷에서 취약점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으므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인터넷 상의 오류의 경우는 전 세계의 모든 노드의 51% 이상이 한 번에 인터넷 상의 오류를 겪을 가능성이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킹의 경우에도 하드포크가 이루어지는 블록을 생성할 시점에 51% 이상의 해시 파워를 보유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그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