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2

고국원왕이 백제와 싸우다가 죽게 된 이유는?

고국원왕은 백제와 싸우다가 전사하게 되는데, 북쪽에서는 전진 등의 침입이 있어서 고구려의 국력이 약화되었고, 남으로는 백제의 근초고왕이 세력을 확장하였습니다.

그런데 굳이 친히 고국원왕이 백제와 싸우다가 죽게 된 이유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반도 중부 지방에서 성장하던 백제가 근초고왕의 지휘 하에 한반도 남부를 손에 넣고 강대국으로 성장했습니다. 백제와는 이미 마찰이 있었는데, 미천왕이 대방군과 낙랑군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대방군과 우호적이었던 백제와 사이가 나빠진 것입니다. 즉 한사군이라는 두 세력 사이의 완충지대가 사라진 시점에서 고구려와 백제는 황해도에서 경기도의 넓은 평야 지대를 차지하기 위한 전쟁은 불가피했던 것입니다. 369년 고국원왕은 2만명의 병력을 이끌고 백제 북방의 치양성을 공격했지만, 백제의 태자 부여수에게 패배합니다. 이후 근초고왕이 태자 부여수를 선봉장으로 삼아 371년, 3만명의 군대를 이끌고 고구려 남쪽의 평양성을 공격하였고 고국원왕은 친히 장수들과 병사들을 거느리고 근초고왕과 전투를 벌이다 눈먼 화살에 맞고, 며칠 지나지 않아 상처 악화로 인해 결국 사망합니다. 이 일로 인해 동명성왕이라는 같은 뿌리를 두고 있던 고구려와 백제는 원수가 되었습니다.


  • 견실한시라소니109
    견실한시라소니10923.12.12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국원왕은 60이 넘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371년 백제 공격을 하였고 고구려군이 진격해 온다는 소식을 들은 백제 근초고왕은 예성강변에 백제군을 매복시켜 두었습니다. 고구려군은 이를 모르고 진격하다가 백제군에 기습을 당해 대패하고 말았습니다. 그해 겨울 백제 근초고왕은 태자 근구수와 함께 정예병사 3만을 이끌고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해 왔습니다. 고국원왕은 자신이 직접 군사를 내어 백제군과 맞서 싸웠으나 백제군이 쏜 화살이 고국원왕을 맞추어 죽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