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4

부왕이 전쟁중에 사망하였는데 고구려의 소수림왕은 어떻게 극복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고구려의 부왕이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전투중에 사망하였는데요. 즉 남쪽으로 백제의 위협과 북쪽 만주 지역의 복잡한 정치상황을 살펴보면 만만치 않았았는데요 어떻게 이러한 상황을 소수림왕은 극복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견실한시라소니109
    견실한시라소니10923.12.24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수림왕과 같은 경우에는 교육기관 태학을 세우고 율령 등을 반포하여

    국가의 기틀을 접는 등 불교를 받아들임으로써 국가의 기반을 잡고

    정비를 할 수 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수림왕은 부왕인 고국원왕이 백제 근초고왕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자 이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 왕이 되어 불교와 유교를 받아들이고 법령을 만들었습니다. 이것은 고구려의 국격을 높이는 3박자 정책이었습니다. 그의 고구려는 조카인 광개토대왕에서 화려한 결실을 맺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수림왕(미상~384)은 고구려의 17대 왕으로 고구려의 국난을 극복한 국왕으로 훗날 광개토대왕, 장수왕의 전성기의 기반을 마련하였니다. 그는 첫째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 체제의 기본 법률을 만들고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를 마련합니다. 둘째, 불교를 수용하여 국가의 사상적 통일을 달성합니다. 세째 372년 태학을 설치하여 인재 양성과 유학의 보급 등 문화 향상에 영향을 줍니다. 네째 372년 고구려와 앙숙인 전연을 멸망시킨 나라로 전진에 사신을 보내 우호 관계를 맺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