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하염없이 우는 매미
하염없이 우는 매미24.02.12

번개가 번쩍이는 원리가 알고싶어요.

하늘에 천둥이 심하게 큰 소리를 내며 치는 적이 있던데 그 전에 먼저 번개가 번쩍 거리잖아요 이렇게 번개가 번쩍이는 원리가 무엇 때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적란운이 발달하면서 구름 내부에 분리 축적된 음전하와 양전하 사이에서 일어는 불꽃 방전인데요 대기는 전도체가 아니 기 때문에 전하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당한 전위를 가져야 되는데, 양쪽 전하 중심 사이의 전위차가 수백만∼수억 볼트에 이르면 방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과 구름 또는 구름과 지면 간에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전기적인 차이는 대기 내에서 양의 전하와 음의 전하가 분리되고 충돌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분리된 전하가 충돌하여 전기적 방전이 발생하면서 번개가 번쩍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양성과 음성의 전하 사이에 발생하는 거대한 전기적 방전 현상입니다. 번개가 번쩍이는 원리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들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과정에서 전하를 양성과 음성으로 분리시키는 것입니다. 이렇게 분리된 전하들이 대기 상태에서 충돌하면서 전기 에너지가 방출되고, 이로 인해 번개가 번쩍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강력한 자연 현상으로 뇌우

    속에서 발생하는 빛과 소리입니다.

    번개가 치는 순간 엄청난 에너지가 방출되어

    밝은 빛과 큰 소리를 내는 천둥을 일으킵니다.

    구름 속에서 얼음 입자와 물방울이

    서로 부딪히면서

    마찰이 발생하여 전기가 생깁니다.

    양전하와 음전하가 분리되어 구름의

    상단에는 양전하 아래쪽에는 음전하가 쌓입니다.

    지표면에는 양전하가 쌓이고 구름 아래쪽의

    음전하와 지표면의 양전하

    사이에 강력한 전압이

    형성됩니다.

    전압이 충분히 높아지면 공기를 타고

    전기가 방전되어 번개가 발생합니다.

    번개는 구름 내부에서 발생하는

    구름 내 번개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지대 번개 지표면과

    지표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지대지 번개 등이 있습니다.

    번개가 발생하면 극도로 뜨거운

    플라즈마가 형성되어

    밝은 빛을 방출하고

    빠르게 팽창하는 플라즈마는 큰 소리를 냅니다.

    번개의 온도는 2만 7천℃ 이상으로 태양 표면

    온도보다 5배 이상 높습니다.

    번개의 길이는 수 킬로미터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번개는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합니다.

    번개는 산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번개는 사람이나 건물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번개는 대기 중 질소를 고정하여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질산염을 만들어 줍니다.

    번개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질소 산화물을

    생성합니다.

    사실 번개는 같은 곳에 여러 번 칠 수 있습니다.

    웅크리는 것보다 넓은 장소에서

    떨어져 있는 것이 안전합니다.

    번개는 멀리서도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실내에 머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번개는 강력하고 아름다운 자연

    현상이지만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번개에 대한 이해를 높여 안전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과 대지 또는 구름과 구름 사이에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할 때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구름 내부에서는 양의 전하와 음의 전하가 분리되어 생기는 전기적인 성장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음전하가 구름의 하부로 누적되고 양전하가 구름의 상부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렇게 전기적인 차이가 충분히 커지면, 대지 또는 다른 구름과의 사이에 전기적인 방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번개가 번쩍이는 과정은 이러한 전기적인 방전이 대기를 통해 일어나는 것입니다. 전기 방전이 발생하면, 공기 중의 분자들이 이온화되고 전기적으로 활성화됩니다. 이에 따라 공기 분자들이 충돌하여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번개가 번쩍이는 광채가 만들어집니다. 이 광채가 번개로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빛으로 번쩍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