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데굴데굴
데굴데굴
22.10.04

아이들은 열이 나도 어른보다 괜찮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른은 38도만 되어도 누워서 거의 움직이지를 못하는데 아이들은 38도가 되어도 활발히 돌아다니고 축 늘어지지도 않고 잘 노는 거 같은데 이런 차이가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기초체온은 성인보다 높기에 성인의 경우 38도가 되면 고열로 될수있으나

    아이는 아이의 기초체온에 따라서 38도가 되어도 활동할수있는 정상적인 상태로도 볼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 성향마다 다른 것 같아요.

    살짝만 아파도 드러누워서 아무것도 못하겠다고 엄마, 아빠를 옆에 두는 아이가 있는 반면에

    아픈데도 놀이 하는 게 너무 좋으니 아픈 걸 잊어 버리고 놀이에 집중하는 아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아픈데도 놀려고 하면 휴식을 취하게 해주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기본적으로 체온조절이 성인보다 미숙합니다. 여기서 기인하는것은 아니까 조심스럽게 생각합니다. 보통 성인은 열이 나는것을 인지 하는 순간 이로 인해 몸이 반응하지만 아이들은 열이 나는것을 인지 못하고 활발하게 돌아 다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사람마다 다를 수는 있습니다

    다만 아이들은 기초체온이 어른들보다 높아서

    그러한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것은 사람마다 아이들 마다 다릅니다

    어른도 38도면 쌩쌩한 사람도 있고

    아이도 37.5만넘어도 축축 처지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아이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열이 날 때 잘 놀다가도 갑자기 컨디션이 안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 논다고 해서 방심하면 안되고 열관리는 철저히 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어른에 비하여 기초적으로 체온이 높습니다.

    기초적으로 체온이 높기 때문에 아이들은 성인에 비하여

    온도가 높아도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한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