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23.04.26

기름에는 불이 붙지만 물에는 불이 붙지 못하는 이유?

기름과 물 모두 동일한 액체지만 기름에는 불을 쉽게 붙일 수 있지만 물에는 불을 붙일 수가 없습니다.

물에는 불이 붙지 못하는 이유를 화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름과 물은 화학적으로 매우 다릅니다. 기름은 탄화수소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은 수소와 산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불이 붙는 것은 연료, 산소, 그리고 연소체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을 때 일어납니다. 기름은 매우 가벼운 화합물로, 공기 중의 산소와 쉽게 혼합됩니다. 또한, 기름은 불에 대한 자극이 크기 때문에 불이 붙으면 쉽게 확산됩니다.

    반면에 물은 연소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물은 수소와 산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 원자들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물을 불에 직접 뿌려도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름과 물은 화학적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불이 붙는 과정도 다릅니다. 불이 붙는 것은 연소 혹은 화염이 발생하는 과정이며, 이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와 연료가 충분히 혼합될 때 일어납니다. 기름은 물보다 산소를 덜 흡수하기 때문에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없습니다. 반면 물은 분자 내부의 수소와 산소 원자가 공유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어, 분자 내부에서 이미 충분한 산소와 연료인 수소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에 닿으면 터지는 수소는 수소원자 두개가 붙어있는 H2 수소분자구요, 물은 H2O로 수소분자와는 분자 구조가 다릅니다. 수소와 물은 아예 다른 분자니까 성질도 달라요. 그래서 물에 불이 가까워져도 물은 터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붙는 온도를 발화점


    기화하는 온도를 끓는점 이라 합니다.


    물은 발화점이 끓는점보다 훨씬 높습니다.



    따라서 타버리기전에 수증기로 변화합니다.



    다시말하면 물은 기체상태에서만 연소가 가능하다는 것인데


    우리는 이런 광경을 볼만한 온도를 보기가 힘듭니다.


    발화점이 너무 높기 때문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불이 붙지 못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불이 붙는 온도를 발화점이라고 합니다.

    불이 붙는 물질들은 발화점이라는게 존재하지만 물은 발화점이 없습니다.

    따라서 물은 증발을 하지 불이 붙지 못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불이 나려면 발화점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합니다 하지만 물은 발화점 보다 기화점이 낮아 불이붙기전에 수증기로 변하기 때문에 불이 붙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 안에는 탄화수소 분자들이 있으며, 고열로 인해 이 분자들이 분해되면서 산소와 결합하면서 발열반응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뜨거운 가스와 화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물에는 이 탄화수소분자가 없으므로 불이 안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