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3

우리가 역사를 배울 때 조선사회를 전기와 후기로 크게 나누는데 이렇게 나누는 의의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우리가 우리의 과거 역사를 배울 때 조선사회를 조선 전기와 조선 후기로 크게 나누어 배우는데 이렇게 나누는 역사적 의의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23.04.23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통 고대 국가들의 역사를 볼 때 건국 시점부터의 패망할 때까지 흥망성쇠의 4단계로 봅니다.

    조선을 전기 후기로 나누는 것이 확고한 정설은 아니고 여러가지 견해가 있는데 어떤 기준으로 전기 후기로 나누는 경우가 많은 듯 합니다. 조선을 시기별로 나누는 방법에 대한 견해를 아래에 정리해보겠습니다

    한국사학계의 주류인 서울대학교에서는 관학파 집권기를 전기, 사림파 집권기를 중기, 세도정치기를 후기로 3기로 구분해서 봅니다. 시대 구분으로는 전기와 중기를 근세로, 후기는 근대 태동기로 개항 이후는 근대로 보는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에서는 서울대학교의 그러한 견해를 짜맞추기식의 궤변이라고 비판하며, 그냥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 전기-후기로 시대를 구분하고, 개항 이후 대한제국 멸망까지 근대로 편입하여 구분하고 있습니다.

    현재 사학계에서는 주류인 서울대를 따라 3분법으로 파악하는 관점이 강하고 합니다. 하지만 전기 중기 후기로 넘어가는 시점의 변화가 정치세력의 교체 외에 시대를 구분할 만한 근원적인 변화가 모호하기 때문에 여전히 학계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행 검정교과서에서는 조선의 시대 구분에 3시기 구분을 쓰고 있는데,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기준으로 조선 전기와 후기를, 흥성대원군의 집권을 기준으로 조선 후기와 말기를 구분 짓는 방식입니다. 이것은 서울대학교의 견해와 그에 문제를 제기하는 여러 의견들을 절충하여 사회, 문화 부분에서 관학파 및 훈구파와 사림파 집권기의 구분이 비교적 뚜렷하고, 병자호란을 대개 조선 후기로 배치하는 두 사관을 종합한 것으로 제시하였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외세의 침략에 의한 전쟁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라고 하여 각각 100년 단위로 분리하여 15세기 훈구정치기, 16세기 사화시기, 17세기 붕당정치기, 18세기 탕평시대, 19세기 세도정치기로 구분해서 이해하려는 의견도 있고, 그러한 참고서적도 나와있습니다. 다만 19세기는 고종의 즉위 시점으로 변화가 심해 그 전후를 조선전기후기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여러가지 견해들의 종합하여 조선을 3개의 시대로 구분하여 전기, 후기, 근대사회의 식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한국사검정시험에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시대 구분에는 3시기 구분법을 사용하는데 양란을 기준으로 조선 전기와 후기를 구분하고 흥선대원군의 집권을 기준으로 조선 후기와 말기를 구분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적이라고 하기 보다는 음 발전 정도 인거 같습니다.

    전기에는 외국 문물을 받아드리고 신식으로 거듭나는 것을 반대하고 미개했찌만 후기에는 많은 발전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