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7.15

세계문화유산 폼페이는 어떤 곳인가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폼페이는 어떤 곳인가요?

그리고 어째서 아직도 유물을 발굴하고 있다고 하나요?

어딘가에 파묻혀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1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폼페이는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만 연안에 있던 고대도시입니다.

    지금은 내륙(內陸)이 되었으나, 당시에는 베수비오 화산의 남동쪽, 사르누스강 하구에 있는 항구도시였습니다. 비옥한 캄파니아 평야의 관문에 해당하여 농업 ·상업 중심지로 번창하였으며, 제정로마 초기에는 곳곳에 로마 귀족들의 별장들이 들어선 피서 ·피한의 휴양지로서 성황을 이루었다. 폼페이의 기원은 매우 오래 되었으며, 처음에는 오스키인들이 취락을 이루고 살았다. BC 470∼BC 424년경에는 에트루리아인이 차지하였고, 그 뒤 BC 80년까지는 삼니트인들이 도시를 지배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만 연안에 있던 고대 도시로, 지금은 내륙이 되었으나 당시 베수비오 화산의 남동쪽, 사르누스강 하구에 있는 항구도시였습니다.

    16세기 말부터 소규모 발굴이 시작되고 1748년부터 본격 발굴에 착수하여 꾸준히 발굴이 계속되었으며 옛 시가의 거의 절반정도가 발굴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명 폼페이이(Pompeii). 남이탈리아의 캄파니아 지방, 나폴리의 남동 약 23km에 있는 고대도시 유적. 베스비오 산의 분화에 의해서 형성된 화산대지의 남단에 있으며, 사르노 강의 하구에 가깝다. 기원 79년의 베스비오 산 분화로 매몰됐지만, 1748년 발견된 이래로 발굴이 진행되어 오늘날 그 전모를 거의 드러내고 있다. 폼페이의 역사는 B.C. 7세기 경부터 산악민족이 오스크 인이 취락을 이룬데서 시작되어 B.C. 6세기에는 키메(쿠마)의 그리스 인에 의해서 그리스 도시의 체재가 정비되었다. B.C. 5세기에는 한때 카푸아의 에트루스크 인의 영향하에 들어가지만, 또다시 그리스 인의 수중에 들어간다. 그러나 B.C. 425년 이후는 중부 이탈리아의 아페닌 산맥을 조상의 땅으로 여기는 사므늄 인이 지배하는 도시가 된다. 그때까지의 고고 ∙ 미술유품은 삼각광장(三角廣場)의 도리스식 신전을 장식하고 있던 테라코타 제 처마장식, 에트루스크 풍의 주두(柱頭, 제6가구[街區]), 아폴로 신역 출토의 페니키아 풍 주두 등이 그것이다.

    B.C. 425~B.C. 201년을 제1사므늄 시대, B.C. 201~B.C. 89년을 제2사므늄 시대, 그 이후를 로마 시대로 구분한다. 제1사므늄 시대의 유품이나 유구는 적고, 겨우 『외과의의 집』, 『스타비아 욕장(浴場)』 등에 그 흔적이 남아 있을 뿐이다. 제2사므늄 시대는 폼페이의 융성기로 『파우노의 집』, 『라비린트의 집』, 『사르스티오의 집』 등의 대저택이 건조되어, ‘폼페이 식 주택’이라 불리우는 양식이 정착하고 바실리카, 포룸, 아폴로 신전, 대극장 등도 창건 혹은 대폭적인 개축이 행하여졌다.


    로마 시대에는 로마 도시로서의 정비가 진행되고 암피테아트룸(원형투기장)도 건설되지만, 그때까지의 헬레니즘 적인 요소가 짙게 남아 있었다. 물자의 집산지로서의 상업적 성격과 주변에 별장을 갖는 피서지적 성격을 겸하고 있고 식민지로서의 은혜를 충분히 받고 번영하여, 시가지는 확대되고 호화로운 주택도 많이 만들어졌다. 특히 『베티의 집』은 제정기의 주택건축으로서 완벽하게 수복되어 있으며 중요하다. 성벽 밖의 폼페이 영역이었다고 생각되는 지역인 보스코레알레, 보스코트레카세, 오프론티스 등으로부터도 대규모인 별장을 포함한 약 30여채의 빌라 루스티카(villa rustica[이], 별장)가 발견되고 있다. 또한 『비의장(秘儀莊)』, 『디오메데 장(莊)』 등의 빌라 수부르바나(villa suburban[이], 성벽 밖의 별장)도 출토하고 있다. 일상생활의 양상을 상세히 전해주고, 주거지(住居址)와 그것을 장식하고 있던 벽화를 남기고 있는 점에서 고고학 ∙ 미술사상 귀중한 유적이 되었다. 출토품의 일부는 나폴리 국립고고미술관과 폼페이 진열관에 전시되어 있으나 미공개의 출토품도 많이 있다.

    출처 : 미술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