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때문에 백반증이 생길수 있나요?
제가 25년째 직장에서 용접을 하고있습니다. 처음에는 얼굴피부도 많이 벗겨지고 했었는데 어느날인가부터 얼굴에 얼룩이 생기기 시작했어요. 알아보니까 백반증이라는데 용접때문에 생긴건지 알고 싶습니다.
백반증은 멜라닌 세포가 소실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백색반이 피부에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백반증은 후천적 탈색소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전체 인구 중 0.5~2% 정도에게 나타납니다.
이는 인종, 지역의 차이와 상관없이 발생하며, 10~30세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도장 작업자에게서 백반증이 발생하였다는 보고가 있지만 백반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며, 유전적 소인이 가장 많으며 항상화 효소 부족, 칼슘 섭취 이상, 외상, 햇볕에 의한 화상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산업재해 및 업무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손상에 대한 평가는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가 시행하며 진료를 받은 후 가능성에 대해 평가해보실 수 있습니다.
백반증은 후천적으로 멜라닌세포 소실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저색소질환입니다. 어느 연령에서도 발생하지만 대개 10~30세 사이에서 가장 흔하며 약 30%에서는 가족력이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인 소인에 의하여 취약한 멜라닌세포가 환경적 요인인 자극이나 외상으로 인해 손상을 받으면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이 활성화되어 유발될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외상, 햇볕, 산화스트레스가 악화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백반증은 치료에 대한 반응이 매우 다르며 개인차도 심하여 환자 개인에 맞추어 치료지침을 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 약물요법 : 스테로이드는 효능에 있어 가장 신뢰성이 높은 약물로 국소적으로 도포하거나 병변내 주사, 경구요법이 모두 가능합니다. 국소 도포제로 스테로이드제나 면역조절제 등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2) 광선요법 : 자외선 치료는 부작용이 없고 장기간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백반증의 치료법 중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엑시머레이저는 국소 병변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치료하며, 강한 에너지를 내 효과가 빠르지만 비용이 비싸고 넓은 부위는 동시 치료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수술요법 : 약물용법이나 광선요법에 반응하지 않을 때 사용해볼 수 있으며 상처를 받는 부위에 백반증이 잘 발생하는 쾨브너현상이 없는 곳에서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4) 탈색요법 : 백반증이 너무 심해 기존의 치료로 색소재침착을 기대하기 어려울 때 정상피부를 탈색시켜 백반증 병변과 색깔을 비슷하게 하는 치료입니다.
5) 보조요법 : 항산화제 (복합비타민)를 복용하거나 도포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용접으로 인하여 피부의 만성적인 자극을 받으면 그로 인한 백박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자님의 피부 증상이 용접 때문인 것인지는 글로 말씀하신 정보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습니다. 피부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근수 의사입니다.
백반증은 점을 뺀자리, 화상을 입은 자리, 수술상처등 상처입은 부위에 백반증이 시작되는 경우를 종종 만납니다.
백반증의 원인이 의학적으로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발생이나 악화요인은 호르몬의 분비 이상, 알레르기 질환,
중병을 앓은 후나 과로나 스트레스, 화학물질, 강한 자외선, 유전이나 상처 등이 있습니다.
증상 피부는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에서 색소를 만들어 피부색을 유지합니다.
반면, 백반증 피부는 우리 몸을 방어하는 면역세포들이 도리어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를 파괴합니다.
증상은 피부나 털의 백색 변화이며,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용접과 직접적인 연관보다는 상기이유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주세요. 답변 달아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용접시 유기용제나 망간을 다루는 경우에는 백반증의 발생확률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네 이전에 1999년에도 용접에 의한 피부백반증이 산업재해로 인정받는 바 있습니다.
주로 망막질환이 직업병이긴하지만
드물에 멜라닌세포가 파괴되는 백반증도 일어나는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