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깔끔한지빠귀239
깔끔한지빠귀239

etf의 가격형성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엄연히 따지면 etf는 지수추종펀드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주식처럼 사고팔고가 가능하잖아요.

주가는 매수와 매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데

ETF는 지수에 따라서도 가격이 형성되구요.

ETF 주당 가격 형성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가격 형성 원리는 일반 주식과 유사하면서도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ETF는 기본적으로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이지만,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됩니다. ETF의 가격은 크게 두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기초자산의 가치와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입니다.

    ETF의 순자산가치(NAV)는 ETF가 보유한 기초자산의 가치를 반영합니다. 이는 ETF의 이론적 가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거래 가격은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NAV와 약간의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공인참가자(AP)입니다. AP는 ETF의 가격이 NAV와 크게 괴리될 경우, 차익거래를 통해 가격을 NAV에 가깝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투자자들은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ETF의 가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추정순자산가치(iNAV)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iNAV는 현재 시점의 기초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계산되는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ETF의 적정 가격을 추정하고 거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ETF의 가격은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과 시장 참여자들의 수요-공급 역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는 주가가 상승하면 ETF가격도 상승하고, 주가가 하락하면 ETF가격도 하락합니다. 즉, 주가의 변동에 따라 ETF가격도 변동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와 같은 경우에는 해당 편입된 자산들의

    각 비중에 따라서 수치화되고 이에 따라서

    해당 ETF의 가격이 형성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특정 지수나 자산군을 추종하며, 그 기초 자산의 가치는 ETF의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에 반영됩니다. NAV는 ETF가 보유한 자산의 총 가치에서 부채를 뺀 후, 발행된 ETF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ETF는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매매되므로, 투자자들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변동합니다. 만약 ETF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 가격이 상승하고, 수요가 줄어들면 가격이 하락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역시 지수를 추종하지만 주식처럼 상장되어 거래되다보니 수요-공급원칙에 의해 순간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거래되거나 비싼 가격에 거래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NAV라고해서 지수추종과 괴리율이 발생하는데, 때문에 조정이 일어나긴 하지만 가격은 순전히 거래자들 사이에서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ETF의 경우 NAV(순자산가치)를 근거로해서 매수, 매도 가격을 조절하는 LP(유동성 공급자)에 의해서 가격이 결정되게 되고, 여기에 더해 개인투자자 등 다른 주체의 수요-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ETF(Exchange-Traded Fund) 주당 가격은 ETF가 추종하는 기초 자산의 가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당 가격이 형성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Net Asset Value (NAV) 계산

    순자산가치(NAV)는 ETF의 주당 자산 가치를 나타냅니다.

    NAV는 ETF가 보유한 모든 기초 자산(주식, 채권 등)의 시장 가치를 합산하고, 여기에서 ETF의 총 발행 주식 수를 나누어 계산됩니다.

    2. 시장 가격 (Market Price)

    ETF는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거래됩니다.

    거래소에서의 시장 가격은 순자산가치(NAV)와는 별도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형성됩니다.

    그러나 ETF의 시장 가격은 일반적으로 NAV와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3. 차익 거래 (Arbitrage) 메커니즘

    만약 ETF의 시장 가격이 NAV보다 높으면, 차익 거래자들은 ETF를 신규 발행(만들기)하고 시장에 판매하여 이익을 얻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반대로 시장 가격이 NAV보다 낮으면 차익 거래자들은 ETF를 사들여 해당 ETF를 청산(환매)하여 기초 자산을 팔고 이익을 얻습니다.

    4. ETF의 거래 및 유동성

    ETF는 개별 주식처럼 거래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매수/매도 주문이 이루어집니다.

    거래량이 많을수록 유동성이 높아지고, 시장 가격이 NAV와 가까워지기 쉽습니다.

  • ETF(상장지수펀드)의 가격 형성 원리는 그 자체가 주식처럼 거래되는 동시에, 기초 지수를 추종한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

    ETF의 주당 가격은 크게 두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첫째, 기초 지수의 움직임입니다. ETF는 특정 지수(예: S&P 500)를 추종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 지수의 변동에 따라 ETF의 순자산가치(NAV)가 변합니다. 이 NAV는 ETF의 이론적인 가치로, ETF에 포함된 자산들의 현재 시장 가치를 반영합니다.

    둘째, 수급 요인입니다. ETF는 주식처럼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므로, 매수와 매도에 따른 수급 상황에 따라 시장 가격이 결정됩니다. 이 시장 가격은 NAV와 근접하게 움직이지만, 때로는 수급 상황에 따라 프리미엄(시장 가격이 NAV보다 높음)이나 디스카운트(시장 가격이 NAV보다 낮음)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ETF의 가격 형성 구조는 시장 조성자(Market Maker)와 같은 참여자들이 ETF의 시장 가격이 NAV와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이 과정에서 ETF의 실제 거래 가격은 기초 지수와 수급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자산운용사가 상품을 설계하고 판매되는 상장지수펀드상품입니다. ETF는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상품부터 최근에는 액티브형으로 2차전지나 전기차나 AI반도체등 특정 테마섹터를 정해서 설계해서 만든 액티브 펀드도 많습니다.

    그리고 이 ETF는 자산운용사가 상품을 만들때 설정하고 공시한 정보대로 기초자산을 무조건 편입해야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2차전지의 100종목을 자신들의 공시한 증권정보대로 편입비중을 설계해서 보고를 해야하고 이 의무대로 자산운용사는 기초자산을 편입을 하게 됩니다.

    이에 해당 기초자산은 매일매일 시세가 변하게 되고 이 시세에 따라서 매일매일 NAV라는 순자산가치가 라는게 매일 공시되서 표기가 됩니다. 이 NAV는 자산운용사가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네이버에서 해당종목을 쳐서 ETF분석을 통해서 매일 NAV라는 기준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한국의 ETF는 보통 대다수가 만원이라는 기준값을 설정해서 지수화해서 상장을 하는게 대부분입니다. 이 경우 다음날 10200원라는 NAV(순자산가치가)가 형성이 되었는데 ETF가 현재 시가가 10250원으로 거래가 된다면 자산운용사는 LP라는 유동성공급자를 설정하고 보통 이 유동성공급자는 여러증권사와 계약을 맺고 이 해당증권사가 NAV와 시가의 괴리율이 발생해서 차이가 난다면 매수와 매도를 하여 NAV와 시가를 맞추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여 시가와 일치하게 하도록하며 만약 이 ETF가 청산이 되고 거래량이 적어 상장폐지가 되면 나중에 NAV의 가치만큼 투자자들에 환매가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