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은행의 배당성향이 시중은행보다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오늘 뉴스를 보니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의 2022년 배당성향은 33.9%로 시중은행의 25.5%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시중은행보다 국책은행의 배당성향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 기업들은 회사의 당기순이익이 큰 경우 배당성향이 낮아지고, 불황인 경우는 배당성향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당성향이 높으면 배당금이 늘어나므로 주주에게는 좋으나, 회사의 입장에서는 그만큼 현금의 유출이 생기는 만큼 재무구조에 있어 부정적인 요인이 됩니다.
말씀하신 국책은행의 경우 국가가 주요 고객이 되므로 일반국민이나 사업자가 주요고객인 시중은행에 비해 재무구조가 안정적일 것이므로, 배당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입니다.
특히 시중은행의 경우 국책은행과 달리 고객유치를 위한 프로모션 등 비용지출요인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기에 배당성향을 국책은행만큼 올리기에는 불리한 여건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책은행은 시중은행과 달리 이익을 추구하는 상업적인 기관이 아니라, 국가의 이익을 추구하는 공공성을 강조하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국책은행은 이익을 축적하는 것보다는 국가의 재정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당성향을 높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나 기업은행의 배당성향이 다른 시중은행보다 높은 이유는 정부가 해당 재원을 은행내에 유보하여서 직원들을 위해서 사용하기 보다는 대부분 정부의 자금사용을 위해서 배당을 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기관들의 배당은 실질적으로 정부에서 결정하게 되며, 정부는 자금이 부족할 수록 이러한 금융기관의 배당을 더욱 높여서 세수대신에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간단하게 보시면 되는데, 공기업, 공무원의 근무 환경이 사기업의 근무 환경보다 일반적으로 조금 더 좋은 것과 비슷하다 보심 됩니다. 즉, 국책은행은 조금 더 주주에 대한 '대우' 를 해주는 개념에서 배당성향이 조금 더 높은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