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에서 노드는 어떤 기능을 하는건가요
평소 블록체인에 대해 관심이 많이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을 찾아보면 노드를 간단하게 네트워크에서 연결 포인트 혹은 데이터 전송의 종점 혹은 재분배점을 말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좀더 쉽게 어떤 것을 말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마스터노드처럼 일정부분의 채굴코인을 보유하고 있어야
해당 채굴해시를 부여받는 채굴 시스템도 있습니다.
하지만 소규모 채굴자들이 모여서 마이닝에 집중하는 단체
노드 방식의 마이닝노드풀들이 수없이 많습니다.
각 노드들은 블록의 생성시 여러가지 기능으로 권리를 취득합니다.
블럭을 생성할 당시 해당 노드가 많이 몰려서 채굴을 하면 블럭의
생성에 도움을 줍니다. 당근 고아블럭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블럭생성시 블럭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이 됩니다. 여기서
개인들의(계좌정보) 개인키등과 공개키등은 헤더에 저장이됩니다.
또한 각 거래정보원장인 트랜잭션 정보등은 바디에 저장이 됩니다.
이런 여러가지 정보는 블럭에 저장이되고 각 노드들은 이러한 거래정보를
검증하고 확인하여 블럭에 저장하고 유효한 블럭을 생성합니다.
이때 블럭이생성될 당시 여러 블럭보다 가장 중요도가 높은 블럭을
선정하여 유효한 다음 블럭을 체인처럼 이어갑니다. 이때 중요도란
얼마만큼의 노드로 얼마만큼의 정보를 얼마나 빠르게 저장이 되었나를
중요하게 선정하며 블럭으로 선정되면 채굴보상으로 코인을 지급받습니다.
이처럼 노드들이 개인하나로 접근하지 않고 여러 노드들이 뭉처서 큰
단체노드로 접근하는 방식은 서로 얼마만큼의 중요한 노드해시를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유효한 블럭으로 선정된다는 의미입니다.
지분증명방식으로 채굴시는 얼마만큼의 지분해시를 보유하고 있는가에따라
블럭에대한 정보수정의 권한을 얻기도 합니다.
이처럼 마이닝노드들은 막강한 해시의권한을 행사하기도 합니다;
채굴방식도 다릅니다. 하나의 지갑으로 등록채굴하는 사람들도있지만
마이닝풀들중 대부분은 마이닝노드의 대표 지갑으로 채굴등록을 하여
하나의 해시로 막강하게 등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런 채굴보상코인은
자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 배분합니다.
노드의 분포에 따라 채굴하는 코인의 어떤 권리를 가질수 있는가가
결정됩니다.
슈퍼노드도 풀노드도 서로의 얼마만큼의 블럭에 권리를 사용하는가
가장 관건인가 싶구요, 노드별로 여러 검증을 통해 인증하는 방식
다릅니다.
노드의 지분증명 방식에 따른 분류이기도 하며 지분에 따른 권리를
취득한다든가 하는 방식입니다.
노드란 쉽게 말하자면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는 사람(혹은 기기, 주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노드라고 한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는 참여자들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노드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만, 중요한 몇 가지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풀노드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는 블록의 거래 내역 전체(블록체인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검증하며 네트워크를 유지하는데 가장 큰 이바지를 하는 노드입니다. 하지만 풀 노드를 운영한다고 해서 받는 보상은 없습니다.
다음으로 마스터 노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풀 노드를 운영하게 되면 블록의 거래 내역 전체를 저장하고 검증하며 네트워크를 유지함에도 마이닝 노드가 아니기 때문에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합니다. 네트워크 유지에 가장 큰 기여를 함에도 말이죠. 그렇기 때문에 풀 노드들 중에서 일정 수량 이샹의 코인을 보유하고 그것을 스테이킹할 경우에 채굴되는 코인 중 일부를 이자를 지급하듯 보상으로 주게 됩니다.
계속해서 마이닝 노드가 있습니다. 이 마이닝 노드는 블록의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즉, 전체 블록체인 데이터 베이스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거래를 검증하고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기록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그 직접적인 채굴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받는 노드입니다.
끝으로 지갑 노드입니다. 이것은 라이트웨이트 노드라고도 불리는데요, 바로 우리가 가장 흔히 많이 사용하는 지갑이라고 보시면 될 듯합니다. 이 지갑은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으며 유저가 트랜젝션을 발생시키면 그것을 다른 풀노드에게 전송한 후 검증 받아 거래를 처리하게 되므로 가벼운 노드라고 불리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