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지구과학 용어 중에 망가니즈각이 무엇인가요?

지구온나화로 인한 자원 고갈로 해양 연구, 해양 자원에 의존해야 한다는 뉴스 중에

"김 원장은 “1992년 대양 연구선 온누리호가 취항하면서 우리나라도 본격적으로 심해저 망가니즈단괴를 탐사하기 시작, 그 결과 북동태평양에 대한민국 면적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7만5000㎢의 단독 해저광구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내용에

망가니즈각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망가니즈각은 망간각이라고 하며, 수심 800~2,500m의 해저산 경사면에 평균 3~5cm의 얇은 두께로 분포하는 겉표면을 말합니다.

    그리고 망가니즈가 심해에 막대한 군집으로 분포하는 것은 망가니즈단괴라고 합니다.

    또한 망가니즈각은 고가의 광물인 코발트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어 고코발트 망간각이라고도 하며, 미래의 잠재적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망간각(망가니즈각,manganese crust) 수심 800~2,500 m 해저산 경사면에 평균 3~cm의 얇은 두께로 분포하는 것을 망가니즈각(망간각)이라고 합니다. 수심 5,000 m 내외의 심해 평탄한 지역에 분포하는 망가니즈단괴와 비슷하지만 고가의 광물인 코발트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어 고코발트 망간각이라고도 합니다. 함유 금속으로는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백금 등이 있습니다. 망간각은 수층 내 금속이온이 저층해류의 산소와 결합해 망간, 철산화물을 형성합니다. 백만년에 수 mm가 겨우 자랄 정도로 성장속도가 더딘게 특징입니다.

    출처 : 울산항만공사 블로그 - 바다광물 자원, 검은 황금 망가니즈단괴(망간단괴)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망가니즈각은 수심 2000~2,500m의 해저산 경사면에 들러붙어 있는 금속 덩어리로, 망간을 비롯해 코발트, 니켈, 구리, 백금, 티탄늄 등 30여가지의 광물 성분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해저산 경사면에 아스팔트가 덮고 있는 것처럼 껍질(각) 모양이라는 뜻으로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망가니즈각은 수심 800~2500m의 해저산 경사면에 들러붙어 있는 금속 덩어리 입니다. 망가니즈를 비롯해 코발트, 니켈, 구리, 백금, 티탄늄 등 30여가지의 광물 성분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해저산 경사면에 아스팔트가 덮고 있는 것처럼 껍질(각) 모양이라는 뜻으로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망가니즈각은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형성됩니다. 바닷물로부터 금속원소가 직접 침전되는 ‘수성 기원’과 해저화산에서 분출하는 뜨거운 용액으로 만들어지는 ‘열수 기원’이 있습니다. 수성기원으로 형성된 망가니즈각에 코발트, 니켈, 구리 등 유용한 광물이 훨씬 많이 함유돼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