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지구과학 용어 중에 우발라는 무엇인가요?

동해 천곡황금박쥐동굴/자연학습체험에 대한 뉴스 중에

"굴과 연결돼 있는 카르스트 지역과 동굴 생성의 원리를 알 수 있도록 돌리네 주변으로 534m 목재데크 탐방로를 조성, 돌리네·우발라 등 자연식생을 관찰할 수 있다." 내용에

우발라는 무슨 뜻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발라는 2개 내지 여러 개의 돌리네가 확대되어 합쳐진 것이 우발라이다. 복합돌리네라고 한다. 우발라의 생성원인은 깔때기형 돌리네가 이웃하는 돌리네와 용식이 진전되면서 연합하여 형성된다. 돌리네와 돌리네가 합쳐지며 측벽이 용식에 의하여 낮아지며 합쳐지는데 그 경계에는 낮은 구릉이 남게 된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발라 지형은 쉽게말해 지하 석회동굴이 무너지며 위쪽지형에 싱크홀이 발생한 지형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발라는 표면층이 붕괴로 인해서 땅이 꺼지는 돌리네가 몇개씩 이어져서 움푹 패인 웅덩이가 된것을 우발라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지구과학 용어 중에 우발라(Uvala)는 침식에 의해 형성된 좁고 깊은 골짜기를 말합니다. 우발라는 주로 석회암이나 사암과 같은 침식에 약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역에서 형성됩니다. 강이나 바닷물의 흐름에 의해 암석이 침식되면서 좁고 깊은 골짜기가 생기는 것입니다. 우발라는 해안 지역에서 해안 침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우발라는 석회암 지대에서 형성된 우발라를 카르스트 우발라라고 부르고, 사암 지대에서 형성된 우발라를 사암 우발라라고 부릅니다. 우발라는 주로 곡선 모양을 하고 있으며, 깊이는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에 이릅니다. 우발라는 지형적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며, 관광지로 개발되기도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발라는 카르스트 지형에서 볼 수 있는 움푹 들어간 지형을 말합니다. 우발라는 물이 지하로 침투하면서 석회암이 녹아서 형성된 것으로, 웅덩이, 호수, 도랑, 계곡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 "우발라(Ubala)"는 일본어에서 유래된 지질학 용어입니다. 지질학에서 "우발라"는 화성과 닮은 특이한 지형적 특성을 가진 화산체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우발라는 화산 체계의 한 유형으로서, 화산 활동 중에 다량의 민물 또는 물이 있는 물 웅덩이나 호수에 있는 화산을 뜻합니다. 이러한 용어는 주로 화산의 폭발적인 분화작용으로 인해 분출된 용암이 물과 만나 웅덩이나 호수를 형성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결과로 화산체의 주위에는 큰 호수나 연못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우발라는 화산학적인 용어로서, 화산 활동과 지질적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화산 지역의 지형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와지 중에 일반적인 돌리네 보다 큰 것을 우발라(uvala)라고 하고 우발라보다 훨씬 큰 형태로서 하나의 폐쇄된 분지 지형을 이루는 것을 폴리에(polje)라고 합니다.. 돌리네 바닥에는 빗물이 빠져나가는 배수구가 있는데 이를 싱크홀(sinkhole) 혹은 포노르(ponor)라고 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