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과 가을의 붉은 하늘 원리가 반대인 이유
장마철 지난 가을에는 비교적 대기에 수분이 적어져서 빛의 산란 과정이 더 정직하게 일어나는 걸로 아는데 여름은 오히려 수증기가 많아서 그런 현상이 발생한다고 하더라고요 이유가 뭔가요?
가을은 대기가 깨끗해서 노을이 유독 선명하게 보이는 거고 여름에는 노을 말고도 붉은 하늘이 자주 관측될 수 있다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태양 빛은 대기중에서 산란이 되며 낮엔 짧은파장인 파란색이 잘 산란되기에 파랗게, 해질 무렵엔 햇빛이 긴 경로를 자니며 짧은 파장이 소시로디고 긴 파장만 도달하여 붉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름철에는 습하고 수증기가 많으며 부유입자로 수증기와 미세먼지가 많고, 이로 인하여 수분과 산란이 이루어지면서 탁하지만 넓고 붉은 하늘이 나타나게 되지요. 붉은 빛이 넓게 퍼지며 하늘 전체가 물드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빈다. 하지만 가을의 경우 건조하고 대기가 깨끗하며 먼지가 적고 공기가 맑기에 단순하게 산란에 의해서 나타나고 경계가 뚜렷하게 선명한 주황 붉은색 계열이 나타나게 됩니다. 즉 수증기에 의해서 현상이 조금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러한 입자들이 빛을 산란하고 또 재산란을 시키는 현상때문에 하늘 전체가 붉게 몰든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