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창창ss
창창ss23.04.27

무선충전의 발전 가능성은 이정도 이려나?

저는 머지않아 어느 구역 혹은 건물에


들어가면 무선충전이 온다고 생각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인터넷이 있습니다.


전화선으로 시작해서 현재 무선인터넷까지


가능한데 이정도까지 가능 하려면


어떤 기술이 필요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요소 중 하나는 전자기파입니다. 전자기파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전파하는 파동으로, 무선충전이나 무선인터넷과 같은 기술에 이용됩니다.

    또한, 무선충전이나 무선인터넷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요소 중 하나는 안테나입니다. 안테나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거나 수신하는데 사용되며, 무선충전이나 무선인터넷과 같은 기술에 이용됩니다.

    또한, 무선충전이나 무선인터넷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전력 전달, 주파수 제어, 안전성 등 여러 가지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 무선 충전 기술은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충전 범위와 효율성 등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무선 충전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무선 충전의 기술적 구현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근거리 무선 충전(Short-range wireless charging) :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기와 단말기 간의 거리가 수 밀리미터 이내이며, 인덕션 방식, 레이저, 마그네틱 리소넨스 등의 기술을 사용합니다.

    둘째, 중거리 무선 충전(Mid-range wireless charging) : 약 1m 정도의 거리에서 충전할 수 있는 기술로, 전자기파를 사용합니다.

    셋째, 장거리 무선 충전(Long-range wireless charging) : 10m 이상의 거리에서 충전 가능한 기술로, 무선 전력 전송기술(WPT)을 사용합니다.

    무선 인터넷의 경우, Wi-Fi, 블루투스, NFC, LTE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러한 무선 통신 기술은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선 충전과 무선 인터넷은 다른 기술이지만,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 충전 기술이 더 발전됨에 따라 더 많은 건물이 무선 충전이 가능한 구역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 기술이 발전하려면 근거리에서 충전을 위한 자기장의 손실이 없는 기술개발이 필요할것이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대기를 통과해야하므로 대기중의 자기장의 손실이 없는 기술이 개발될지 의문이네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일정 공간에 진입 시 자동으로 무선 충전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필요합니다.

    1. 무선 충전 인프라 구축: 일정 공간에 무선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전을 지원하는 무선 충전 장치와 해당 장치를 인식하는 센서가 필요합니다.

    2. 인식 기술: 자동으로 무선 충전이 되기 위해서는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가 해당 공간에 진입한 것을 감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GPS와 같은 위치 인식 기술을 사용하거나, 센서를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가 인식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전력 관리 기술: 자동으로 무선 충전이 되면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전이 완료된 후 자동으로 충전이 중단되도록 하거나, 충전이 필요한 기기만 우선적으로 충전되도록 하는 등의 전력 관리 기술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무선충전기술이나 자기공명방식은 현재 사용이 되는 기술이지만 아직까지 상용화만 안된겁니다. 지금도 연구 개발중이고요.



    아마도 부분적인 오류나 안정성,결함이많아서 출시를 안할것일뿐이고요



    현실적으로는 2024년 이후에 나오지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