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흐르는 전류는 사람 몸에 흐르는 전류와 비슷한가요?
핸드폰 화면을 터치했을 때 인식되는 방법은 몸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통해서라고 알고 있는데, 가끔 액정에 물이 떨어지면 액정이 인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인식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터치스크린이 터치를 인식하는 원리는 정확히는 몸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스크린 표면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에 도체인 사람의 몸이 닿을 시 정전용량이 바뀌는 것을 이용합니다.
터치스크린 표면에는 전극이 깔려 있고 여기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내며 정전용량을 계속 체크합니다. 여기에 도체인 사람의 손가락이 닿으면 전기장이 변화하여 정전용량이 바뀌는데 이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가 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비슷한 원리로 물은 도체이기 때문에 액정에 물방울이 떨어지면 정전용량을 변화시킵니다. 스마트폰을 이를 인식하고 터치가 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사람 손이 가진 미세한 전류가 아니라 손이 전도체이기 때문에 화면 표면의 전기장을 변화시켜 위치를 인식합니다 물방울도 전도성이 있어 화면의 전기장을 교란시켜 손가락과 비슷한 효과를 내어 터치가 감지될 수 있습니다 물에 흐르는 전류가 손의 전류와 같은 것은 아니지만 둘 다 전기장을 변화시켜 터치 신호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비슷하게 작용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인체는 복잡하며 전류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이 다릅니다. 휴대폰 화면에 액체가 인식되는 것은 액체 속 이온들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전기장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의 몸은 수분과 이온을 통해 전기가 미세하게 흐르지만, 스마트폰 터치 스크린은 손가락의 터치로 미세한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물이 떨어져 인식이 되는 원리는 물의 전도성에 의한 전기장과 정전용량 때문이며
이는 표면에 물이 떨어지면 전도층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물방울도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전도체입니다. 디스플레이 위에 떨어지면 일시적으로 정전용량 변화로 인해 터치로 인식이 되기도 합니다.
다만 물방울은 인식이 불안정할 수 있으며 터치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