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자녀에게 보상을 주는 습관을 들이는게 맞는걸까요?
요즘 초3아들이 수학에 재미를 붙여서 수학학원도다니고 열심히 공부중입니다.
시험칠때마다 100점받아와서 자랑하면 칭찬해주고 이뻐해주는데
마냥 이뻐만 해줄게아니라 뭔가 보상을 해주고싶습니다.
근데 한편으론 보상주는 습관이들면 그거만 바라게될까봐 고민인데요
어떻게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보상은 '칭찬'이 좋습니다.
아이가 무언가를 해냈고 잘했을 때 선물 이라는 보상을 준다면 '
아이는 학습을 하기 위한 목표가 선물을 받기 위해서 하는 것이 될 터이고, 자기가 무언가를 성취했을 때 부모님이 물건을 사주는 보상이 당연시로 여기기 때문에 아이에게 선물로 보상을 하긴 보다는
우리 00 정말 잘했어 라고 말을 해주면서 아이의 등을 토닥여 주거나, 아이의 등을 토닥여 주는 보상을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생 자녀에게 보상을 주는 것은 효과적인 동기 부여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어떻게 접근하느냐가 중요합니다.보상이 너무 자주 주어지면, 아이가 보상 자체에 집중하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공부 자체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를 키우는 것도 중요합니다. 성취감이나 자존감을 느끼게 해주는 방식으로 보상을 줄 수 있습니다. 보상이 꼭 물질적인 것이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녀가 노력한 점이나 성과에 대해 진심으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것도 강력한 보상입니다. : 보상을 다양하게 하여 아이가 지루해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특정 성과에 대해 작은 선물을 주거나, 특정한 활동(예: 좋아하는 게임 시간)을 허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결과보다는 과정에 대해 보상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수학을 공부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면 그 자체에 대해 칭찬해주고 보상을 주는 것입니다.
보상은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그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적절한 보상과 격려를 통해 아이가 지속적으로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드린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1명 평가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물질적인 보상보다는 경험적인 보상을 줄 수 있도록 해보세요
놀이동산이나 과학관, 키즈카페 같은 곳에 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책이나 문구류 같은 학습에 도움이 되는 보상을 사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관성있는 보상을 주어서 자녀가 무엇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상이 일상적인 행동까지 확대되면 자녀가 보상없이는 행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녀가 스스로 동기를 갖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적절한 보상은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다만 보상에만 집중하게 되면 아이에게 도움이 되지않습니다. 보상과 격려를 함께 해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칭찬을 해주고나 목표를 주기위해 보상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적당한 보상은 좋으나 과할경우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아이의 성격과 성향에 맞게 조절하여 보상해주면 아이도 더 행복해 할꺼라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생 자녀에게 보상을 주는 것은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지만, 보상의 방식과 빈도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보상을 통해 아들이 노력한 결과를 인정해주고 격려하는 것은 좋은 접근이지만, 보상이 항상 필요하다고 느끼게 할 경우, 자발적인 학습 동기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보상은 반드시 물질적인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별한 활동이나 가족과의 시간, 좋아하는 음식 등을 통해 성취를 축하할 수 있습니다. 아들이 수학에서 100점을 받을 때마다 보상을 주기보다는, 일정 기간 동안 열심히 공부했을 때 보상을 주거나, 목표를 달성했을 때 특별한 날을 정해 보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들이 스스로의 노력과 성취를 인식하고, 단기적인 목표보다는 장기적인 성장을 중요시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칭찬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계속해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들이 성과를 얻을 때마다 '잘했어'라는 말과 함께 그 과정에서의 노력을 강조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아들이 내재적인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