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심심한곰255
심심한곰255
22.12.02

딸아이 둘이 매번 말싸움하는데 괜찮을가요?

딸아이 둘이 매번 말싸움을 심하게 합니다.

대화만 하면 싸움을 하는데요.

다행이 몸싸움이 아니라 말싸움을 하는데요

아이들은 싸우면서 크니 놔둬야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5.13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매 간의 말싸움이 자주 발생한다면 그 원인을 파악하고

    상호간의 대화와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해요.

    자매가 서로 간의 갈등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할 경우 부모가 중재하고 충분한 시간과 관심을 제공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매 사이의 서열정리가 확실하게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싸움이 발생하는 상황 같습니다. 양육할 때 다음과 같이해주세요

    1. 편애하지 말아주세요 2. 훈육할때는 1:1로 하고 한명씩 대화하기 3. 서열정리하기 4.공평한 기준 정하고 적용하기
    그리고 질문자님이 가이드를 잡으시고 자매가 도를 넘어서 싸우는 경우에 중재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한명의 아이만 편들지 마시고 가급적이면 스스로 서열을 정리하도록 지켜봐 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을 바로 대화를 자주 나누는 것입니다. 특히 머리가 자란 큰

    아이에게는 동생이 연약한 보호 대상임을 일깨워 줄 필요가 있습니다. 부모의 책임감을 큰 아이에게

    조금 나눠주는 것입니다. 동생을 돌본 후에는 큰 아이와 놀아주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하며

    스스로가 소중한 존재로 인식될 수 있또록 따뜻한 말과 사랑을 아끼지 마세요. 자신이 가족의

    일원임을 깨닫게 되었을 때 소속감이 생기고 책임감도 더욱 커질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 중재를 해주시고

    아이들이 원인을 제공한 아이를 조금더 엄하게 훈육하시는

    과정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싸우면서 크지만

    싸우는 것 자체를 막을수는 없겟지만

    싸운후에 뒤끝없이 화해할수 있도록 만들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말다툼에 부모님이 사사건건 해결하려 들지 않으셔야 합니다. 아이들은 부모에게 더 많은 관심을 받기 위해서 일부로 먼저 부모님에게 이르거나 더 큰소리를 지르기도 합니다. 이때는 서로가 잘 해결할 수 있도록 조언 정도로 끝을 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다툼이 생겼다고 아이들을 그냥 꾸중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고 아이들을 생각하게 되며 억울한 생각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다툼이 일어나게 된 원인을 비롯하여 상대방의 이야기를 모두 들어줄 수 있도록 시간적 배려를 부모님이 해주셔야 합니다. 만일 다른 사람이 이야기 하고 있을 때 끼어들지 않도록 해야하며 끼어든 아동에게도 시간이 충분이 있으니 잠시 기다려달라고 이야기 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나이차이가 많이나지 않는다면 다툴 일이

    많습니다.

    차츰 성장해가면서 줄어들기도 하며 아이들이 다투면

    놀이 등을 제한하거나 그런 방법으로 싸우지 못하도록 유도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녀들이 싸울 때 심각한 경우 아니고서는 지켜 봐야 합니다.

    싸우고 화해하는 법도 아이들 스스로 익히면서 나중에 사회 나가서 갈등이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을 터득 하는 거랍니다.

    아이들은 싸우면서 큰다 라는 말이 있듯이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부모님께서는 절대 싸움에 개입하지 마시고 먼저 해결책을 던져주지 않는 태도가 문제 해결의 열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무작정 '방치' 하는 것이 아닌, 우선 보호자는 지켜보는 역할을 하셔야 합니다.

    자매에게 누군가의 편을 들어주게 되면 한 명은 위축되고, 한명은 의기양양 하고

    엄마는 어차피 내 편을 들어줄 것이라는 인식이 박힐 수도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것은 팀워크 과제를 함께 하는 것입니다.

    자녀 둘이서 함께 해나갈 수 있는 놀이를 강구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이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려서부터 건강한 의사소통에 대해 배워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정적인 메세지를 전달할 때에도 차분하게 말을 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세요. 가장 쉽게 배우는 방법은 바로 부모님으로부터 배우는 것입니다. 부모님 먼저 아이에게 지시를 하거나 요구를 하실 때

    부드럽고 명료하게 말씀하시고,

    미안하지만 ~는 어렵겠어

    불편하겠지만 ~ 하는게 좋겠다

    부정적 메세지를 전달하는 좋은 예이니 사용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