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내일은더나은하루
내일은더나은하루23.10.22

기름과 물이 만나면 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요리하다 나온 기름에 물이 만나면 기름이 튀는데 왜 기름과 물이 만나면 기름이 튀는건가요?

그리고 왜 뜨거운 온도에서만 튀고 그렇지 않은 온도에서는 별 반응이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밀도 차이: 기름과 물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름은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물 위에 떠 있습니다. 때문에 물이 기름에 닿게 되면 물이 증발하여 기름 안으로 침투하려고 합니다.

    2. 증발과 증압: 물이 뜨거워지면 증발하면서 수증기를 생성합니다. 이 수증기는 기름 안으로 올라가려고 하면서 기름 안의 공간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기름이 물방울과 함께 증발된 수증기로 인해 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3. 열전달: 뜨거운 온도에서는 열 전달이 더욱 증가합니다. 따라서 뜨거운 온도에서 기름과 물이 만나면 더 높은 열이 전달되어 물이 빠르게 증발하고 기름이 튀어오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름과 물이 만나면 기름이 튀는 이유는 물과 기름의 밀도 차이와 끓는점 차이 때문입니다. 물은 기름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뜨거운 기름에 넣으면 가라앉게 됩니다. 가라앉은 물은 주변의 높은 온도 때문에 순식간에 끓기 시작합니다. 끓는 물은 수증기로 변하면서 부피가 약 1700배로 늘어나게 됩니다. 이때, 기름은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밀려 올라가면서 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