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왜 산소농도가 높으면 불이잘타나요?
불을붙이고 산소를 주입하면 불이 엄청쎄지잖아요
왜그런건가요?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면 안타는건가요?
산소만잘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는 불이 타는데 필요한 연소의 핵심 요소입니다. 불은 연소라는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하며, 연소가 일어나려면 연료, 열 및 산소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연소 반응은 연료와 산소가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인데, 산소가 연료와 빠르게 반응하여 높은 열을 발생시키면 불이 잘 타게 됩니다. 산소 농도가 높을수록 연소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어 불이 높은 온도로 빠르게 번지면서 더 잘 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에 탄다는 말은 물질이 높은 온도에서 산소와 결합하며 열에너지과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반응입니다.
즉, 산소가 많다는 것은 반응할 수 있는 물질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차례를 기다리지 않고 빠르게 반응한다는 의미이고 이는 곧 빠르게 불탄다는 의미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우리가 흔히 보는 불이 타는 것은 화학적으로는 "산화" 된다는 표현을 씁니다.
산화된다란 말은 산소화 된다는 의미입니다.
즉 산소와 결합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산소가 많으면 당연히 불에 잘 타게 됩니다. 산화시킬 산소가 많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더 추가적인 설명을 드리자면
산소 분자의 결합 상태보다 CO2이산화탄소의 결합 상태가 더욱 강하기 때문에
불이 붙더라도 이산화탄소는 더이상 산화되지 않고(=안정적인 상태라서)
산소만 산화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