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감자난초
감자난초23.03.17

일본은 왜그렇게 독도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는 걸까요?

질문 그대로입니다.

요즘 일본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아짐에 따라 이미 만성이 된 독도 분쟁에 대해 새삼 다시 궁금해졌습니다. 일본은 대체 왜그렇게 독도에 집착하는 걸까요? 독도가 우리땅이라는 증거가 차고 넘치는데도 불구하고 주기적으로 우겨대는 일본의 진짜 속셈이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독도의 주변 해역은 차가운 한류와 따뜻한 난류가 만나는 다양한 어류들이 사는 엄청난 어장이지요.

    또한 독도 주변에는 미래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많이 매장되어 있다고합니다.

    일본은 독도를 소유하면 주변의 바다, 그리고 바다의 천연자원까지 모두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거랍니다.

    또한 일본의 정치인들은 국내적으로 시끄럽고 복잡한 일들이 생기면 일본인들의 관심을 나라 밖으로 돌리려고 독도 문제를 계속 이야기 한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관적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독도는 일본에게 있어서 중요합니다.

    독도가 자기땅이라면 우리나라를 손쉽게 점령 할 것입니다.

    주기적으로 건드려 보는 것입니다.

    쟁점화 시키면 정치적으로 상당히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04년 일본의 어업인이 독도에서

    강치잡이를 독점하기 위해서

    일본 정부에 독도 영토 편입을

    요청하였습니다. 이에 일본 정부는

    독도를 ‘죽도(다케시마)’라고 이름

    붙이고 독도 영토 편입을 일방적으로

    결정했습니다.

    일본은 이러한 결정을 소위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를 통해

    알렸다고 하면서 독도를 자신들의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도가 작은 섬에 불과하지만, 그것의 주권을 갖고, 안갖고는 엄청난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일본이 독도 분쟁을 자꾸만 일으키는 것은 단순히 작은 섬을 차지 하겠다는것이 아니라, 그것을 차지함으로서

    얻는 영토의 한계선 엄청나기에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하나의 영통 분쟁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독도를 탐을 내는 이유는 바다에 있는 자원의 영역이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원래 지배욕이 강한 일본은 우기기를 하여서 지금도 계속 주장을 하고 있는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은 고대부터 수출입과 양식 등을 위해 독도를 이용해왔습니다. 그러나 1905년 일본이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독도를 점령하였고, 이후 일본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패배로 인해 군사적으로 점령했던 많은 지역들을 포기하였습니다. 그러나 독도는 일본이 포기하지 않고, 1952년 일본과 체결된 샌프란시스코 조약에서 "포기한 것이 없다"는 내용이 담겨 있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독도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산물인 고등어 양식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은 고등어 양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독도의 어업 관리 권한을 주장하며 한국과의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사적 배경과 경제적 이유를 떠나서도, 독도는 지리적으로 한국과 가깝고, 한국이 수세기 동안 통치하면서 토착화된 문화와 역사적인 유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은 이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독도의 한국 소유를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우선은 '영토적 문제', 사실상 일본은 섬나라이므로 독도 등에 교두보를 확보하고 대륙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과거 '일제'의 야욕이 남아 있는 것에 따른 결과이며, 독도 주변의 해산 자원이나 석유 등 경제적 이유로 그러는 것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도는 군사 전략상 요충지로 일본은 시시각각 러시아 해군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있었고 일본은 독도를 지배하는 자가 동해를 지배한다고 할 정도로 독고를 군사적 요충지로 보았습니다.

    또, 독도는 생태계의 보물창고로 107종의 조류와 49종의 식물, 93종의 곤충류 등 다양한 동식물들이 살고있기때문입니다.

    또한 독도는 수산자원의 보고로 북쪽에서 내려오는 북한 한류와 남쪽에서 올라오는 대마도 난류, 동한 난류가 합쳐지는 지역으로 많은 플랑크톤이 살고 있어 각종 어류들이 독도 근해로 모여듭니다.

    독도는 군사적 요충지, 생태계 보고, 수산자원의 보고 등 경제적 가치가 돈으로 환산하기 힘들며, 독도 해저에는 불타는 얼음이라 불리는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매장되어있는데 메탄이 주성분인 천연가스로 해저의 높은 수압과 낮은 온도에서 메탄가스가 물분자와 결합하여 얼음처럼 딱딱하게 굳어있는 천연가스 덩어리입니다.

    현재 가스하이드레이트를 현재 자원화 할수있는 나라는 러시아, 미국뿌니여 일본은 이 가치를 알고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