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주식은 상한가 하한가가 있는데 코인도 세금을 걷게 되면 제도권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상한가 하한가 규정이 생기나요?
주식보다 코인투자가 위험한 게 바로 상한가 하한가 기능이 없어서 더 그런 것 같습니다.
그래서 투자손실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현재 정부 차원에서 코인 수익에 대한 세금제도가 유예상태로 알고 있습니다. 코인이 제도권에 들어가게 되면 주식처럼 상한가 하한가 규정이 생기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이 제도권에 편입되어 세금 부과 및 규제가 강화된다 해도, 상한가·하한가 제도 도입 여부는 시장의 특성과 유동성을 고려한 정책 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현재로서는 정부나 감독기관의 구체적인 계획이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하한가 규정은 없을것입니다 세금을 걷는다고 해서 국내 증권으로 규정한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세금도 기타자산으로 분류할예정일 뿐입니다
이미 해외거래소라는 대체거래소도 있는 상황에서 거래소에 직접적으로 규제할 의무나 계획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이 제도권 내에 편입되면 상한가 하한가 제한이 생길수 있습니다. 거래소에 규제를 부여할수 있습니다. 다만 코인의 가격은 전세계 거래소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렇게 되면 해외 거래소로 옮기면서 가격 차익을 노리는 경우들이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권 시장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투자자들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게 됩니다 그런 투자에 대한 보호를 위해서는 상한가나 하한가를 정확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에서 보다는 완화된 상태로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