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공손한거북이
공손한거북이21.10.04

자동차 급발진시 대처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차량 급발진 영상을 봤는데 정말 무섭더라고요.

순간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다면 큰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아주 높아보이는데

정확히 어떻게 대처를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자동차 급발진 영상을 보시고 걱정이 되시나 보네요~ㅜ;

    저 또한 급발진 영상을 볼 때마다 걱정되었던 부분인데요~

    우선 급발진 상황에서 가능하다면 기어를 N단으로 바꿔주어 동력이 전달 안 되게 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고,

    브레이크 먹통에 기어N단 변경도 안 된다면 사이드브레이크도 작동시켜보는 등 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들을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기어변속, 사이드브레이크도 전자식으로 이루어진 차량들이 많기에.. 가능할지 여부가 궁금하긴 하네요 ㅜㅜ

    부족한 답변이지만, 궁금하신 점이 잘 해결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저의 생각에는 급발진 시점에서 시동을 끄는경우 핸들이 잠겨서 더욱 큰 사고가 날수 있기때문에 비추하고 기어는 N단에 넣고 사이드 브레이크를 조절하면서 차를 벽이나 기타 장애물에 스치듯이 마찰력을 주어 속도를 줄이고 사람이 다칠수 있거나 그런 곳을 피해서 박고 멈추는게 좋을것 같아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급발진시 브레이크를 나눠 밟지 않고,

    온 힘을 다하여 세게 밟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어 변속기 중립(N)으로 놓아 동력을 차단시키는데요.

    이를 통해 차량 속도가 감속되면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합니다.

    시동을 끄는 것은 사실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사이드브레이크 적극 활용을 권장합니다.


  • 가장 먼저 모든 페달에서 발을 떼어, 혹시 가속페달을 밟고 있지는 않은 지 확인해야 합니다. 실제로 급발진 사고로 의심되는 많은 자동차 사고의 대부분이 이런 문제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다음 브레이크를 한 번에 꾹 밟습니다. 이때 브레이크를 나눠 밟지 않고, 온 힘을 다하여 세게 밟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어 변속기 중립(N)으로 놓아 동력을 차단시키는데요. 이를 통해 차량 속도가 감속되면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합니다. 시동을 끄는 것은 사실 권장하지는 않는데요. 시동을 끄면 제동 및 조향이 모두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오히려 어려운 상황에 빠질 수 있기 때분입니다.

    <급발진 사고를 예방하는 운전습관>

    1. 엔진 체크등이 꺼진 뒤 시동 걸기

    2. 브레이크 페달 밟고 시동 걸기

    3. RPM 1000이하로 떨어진 뒤 움직이기


  • 급발진 시 사고 안내려고 조향하다 사고가 크게나는데.. 속도가 올라가기전.. 어떻게든 멈추는게 좋습니다.. 능숙자라면 미션 중립 또는 파킹으로 변경하셔서 바퀴로 전달 동력을 차단하시고..그러지 못한 경우 그냥 앞차를 박아 멈추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속도가 올라가기전 사고 겁내시지 말고.. 가속되기전 앞차를 박으시는게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05

    브레이크 밟고 기어를 중립으로 바꾼뒤에 가로수같은 것에 그냥 박아서 차를 세우세요.

    차가 파손되고 본인이 다치고, 시설물 파손에 대한 보상을 해야겠지만

    차랑 사람 피해보겠다고 이리저리 움직이다 속도 더 올라가고, 그러다 사람을 치거나 본인이 사망할 수 있습니다.


  • 브레이크를 밟고, 기어를 N으로 하되 시동은 끄지말고

    전방 주시하면서 핸들 조작으로 사물을 피할 수 있어야 할겁니다.

    급발진이 왜 발생되는지 원인파악은 잘 안되기 때문에 급발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겠네요

    급발진이 운행중에도 발생되고, 처음 시동켤때도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급발진 발생되면 당황하지 않는게 제일 중요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자동차 급발진 시에는 침착하게 대처하시는게 중요합니다. 가장먼저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았는게 이상 RPM이 치솟는다면 변속레버를 L 혹은 -로 되어진 곳으로 옮겨 단수를 낮추거나 N단으로 옮겨 중립상태로 바꿔줍니다.

    이후 속도가 줄어든다면 비상등 점등 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여 브레이크를 밟아 정차하거나 브레이크가 들지 않는다면 파킹브레이크, 변속레버 P로 이동하여 정지해줍니다.

    속도가 줄어들지 않는다면 비상등 점등 후 브레이크를 한번에 강한 힘으로 밟아줍니다. ( 여러번에 나눠 밟지 않도록 합니다.) 속도가 줄어든다면 파킹브레이크를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속도를 줄여주고 P단으로 이동 후 파킹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을 멈춰줍니다.

    속도가 빠른 상태에서 시동을 끄거나 파킹브레이크를 사용하는건 자제하도록 합니다. (시동을 끄면 브레이크, 조향이 힘들 수 있고 파킹브레이크를 사용하면 차량이 주체가 안되게 돌아가버릴 수 있습니다.)

    바다, 호수, 저수지 등 으로는 절대 핸들을 꺾거나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혹 나중에 급발진 인정 관련하여 증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해줍니다. 음성이 녹음되는 블랙박스같은 경우엔 당황하지 않는 침착한 목소리로 아무 페달을 밟지 않았는데 갑자기 RPM이 끝까지 올라갔다,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시엔 엑셀이 아닌 브레이크를 제대로 밟았는데 제동이 되지 않는다. 등 침착한 목소리로 엑셀은 밟지 않았고 제대로 브레이크를 밟아주었다는 증거가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