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비빙
비비빙23.06.13

비행기가 하늘을 날수있는 과학적원리가 궁금합니다

비행기가 어떠한 과학적원리로 하늘을 날수있는건지 저항력을 무시하고 무게가 많이나가서요 바람에 영향도 받는건지도 가장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뜰 수 있게 하는 힘은 양력입니다.

    비행기에 날려있는 날개가 바로 이 양력을 받아 날 수 있게 설계가 되어있는데요.

    위로 올라오는 공기와 내려오는 공기를 조절하여 뜨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양력 때문입니다.

    우리가 보통 타는 여객기 같은 고정 날개면이 어떤 속도로 공기 속을 운동하면 운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작용하는 힘 즉, 양력이 작용해 기체가 공중에 뜨게 되는 것이죠.

    날개의 위쪽과 아래쪽에 이동하는 공기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양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 힘이 말씀하신 힘을 훨씬 상회하는 것도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의 날개는 곡면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날개 아래쪽의 공기는 상승하는 경사로 흐르고, 날개 위쪽의 공기는 내려가는 경사로 흐릅니다. 이로 인해 날개 아래쪽의 압력이 낮아지고, 날개 위쪽의 압력이 높아지는 양력이 발생합니다. 이 양력은 비행기를 위로 끌어올려 중력과 균형을 유지하며 날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원리는 양력에 의해 가능합니다양력은 비행기의 날개에 의해 만들어지며 날개의 형태와 기체의 속도에 따라 발생합니다 날개의 위부분과 아랫부분측의 압력 차이로 인해 양력이 발생하는데 비행기를 위로 밀어 올리는 힘이 됩니다 그리고 추진력에 의해 항력이 생겨 계속 날수있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는 과학적 원리는 버뮤다 삼각 지대와 함께 인류 역사상 가장 신비로운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비행기는 공기의 힘을 이용하여 비행합니다. 비행기의 날개는 공기를 분리하여 위쪽으로 향하게 만드는 곡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날개 위쪽은 공기가 빠르게 흐르면서 날개 아래쪽보다 압력이 작아지게 되고, 그 결과로 비행기는 위로 부상하게 됩니다.

    또한, 비행기 엔진은 공기를 빠르게 흡입하여 추진력을 만들어냅니다. 비행기의 엔진은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시키고, 그 결과로 발생하는 가스의 힘을 이용하여 비행기를 추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베루누이의 원리에 의해 뜨는데요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르면 공기가 천천히 흘러가면 압력이 높고, 공기가 빨리 흘러가면 압력이 낮기에 비행기는 위로 뜨려고 하는 양력이 생긴다. 이것을 잘 활용하여 속도를 아주 빠르게 하면 비행기는 공항에서 뜨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나는 원리의 요점은...

    고정 날개면이 어떤 속도로 공기 속을 운동하면 운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작용하는 힘 즉, 양력이 작용해 기체가 공중에 뜨게 되는 것.

    물론, 이것외에 비행기가 뜰수 있게 여러 힘이 작용하는 것이 있는데요

    한마디로..날개에 부딪히는 공기 흐름을 잘 이용하면 무거운 물체도 띄울 수 있다는 항력이 발생한다는 것이고..

    자동차는 달릴때 뜨지 않도록 즉, 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노력하거나 연구하구요

    반대로, 배나 자동차는 부력처럼 달릴때 중력을 최소화하게끔하는 양력이 작용하게끔 설계를 한답니다. 그래야..띄울수 있으니깐요..ㅎㅎ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