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싫어하는 4학년 남아입니다..
제가 봤을때 수학문제 푸는거 시켜보면 머리가 나쁘진않은것 같아요. 문해력은 조금 딸리는것 같구요. 공부하는건 너무 싫어합니다. 숙제 시키면 겨우하는수준.. 요즘은 총에 꽂혀서 총을 만들어보고싶다고 모나미 볼펜 뜯어서 총만들고 유튜브에서 총만들기 찾아보고 주로 만드는걸좋아하는것 같아요. 이런 아이는 어떤걸 시키는게좋을까요? 수업이요. 과학실험같은걸 시켜줘야할까요? 잘하는 분야에서 자극을 줘서 자신감을 갖게 하고 싶어요 만드는건 확실히 손재주는 좀 있는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공부를 좋아 하는 초등 학생은 거의 없습니다 싫어 하는 것보다 일반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 아이 인것 같아요
스스로 만드는 것이 재미 있고 좋다고 하니 아주 장점이 될 만한 행동 인것 같아요
하지만 아이가 좋아 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기본 적인 공부를 하는 것도 매우 중요 합니다
초등 중등 고등 학교 수업 내용이 인생을 살아 가면서 이정도는 배우는 것이 좋기 때문에 만드는 것을 하면서도
공부도 함께 병행을 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라고 할수 있어요
아이의 재능을 살리는 교육을 하면서 학교 공부도 소홀하면 안될 것으로 보입니다
공부를 먼저 권하는 것보다 아이가 재능이 있고 잘 하는 만들기를 먼저 하고 칭찬을 해 준다면
아이의 자신감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보이고 높아진 자신감과 자존감은 공부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문해력이 부족한 이유는
문제를 이해하고 사고하는 부분이 부족하기 때문 입니다,
즉, 문제의 내용을 이해하고 인지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문해력의 부족함을 보이는 것인데요.
아이의 문해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책을 매일 꾸준히 읽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문제적 상황을 제시하고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다양한 생각을 끄집어 내어 다양한 사고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또한 아이가 만들기에 대한 소질이 크다면 이 소질을 재능으로 키워주는 것도 좋은 이유가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즐거워하고, 재미를 느끼고, 흥미와 관심을 보이고, 행복해 하는 것을 아이의 재능으로
키워주는 것이 아이의 미래와 직결되는 직업을 가지는데 많은 도움이 되어질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
우리 아이를 위해 새로운 흥미로운 것을 제시하시면 어떨까합니다.
공부라는 단어를 지양하시고
학습에 도움이 되는 길을 우리 아이와 함께 찾아 보시길 권합니다.
손재능이 남다르다는 것은 머리 회전이 빠르고 사물에 대한 감각도 빠르게 판단할 것으로 보입니다.
1.책놀이 지도를 통해서 안정된 책 읽는 습관과
책속의 내용을 구성화해서 만들고 그리고 활동까지 하는 작업을 해 보시길 바랍니다.
또는 학교에서 진행하는
2. 방과후 지도로 과학과 음악으로 악기를 다루는 것도 시도해 보시면
공부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학습과 연계가 이루어질것입니다.
천천히 인내를 가지고 함께 찾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찾은 과제를 집중해서 시도해 보고 반응을 통해
또 다른 해결책이 나올 것이라 믿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과학실험이나 만들기 활동을 활용하는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가손으로 만드는것을 좋아한다면, 과학실험이나 모델 만들기와 같은 활동을 통해 학습을유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물리나 화학의 기본원리르 배우는 실험을 통해서 수학적 사고와 문제 해결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아이는 실험을 통해서 이론을 실제로 적용해보며 학습의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문해력 향상을 위한 활동을 다양화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책 읽기를 싫어할 수 있으므로, 이야기가 포함된 그림책이나 만화책을 활용하는것이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글을 써보거나 간단한 설명서를 작성해보는 활동을 통해 문해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공부하는 것을 싫어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공부하는 것을 싫어하는 건 어떻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단계별로 접근해보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작게 시작하기: '10분만 공부해보자' '오늘은 수학문제 5문제만 풀어보자' 이런식으로 접근하면서 파이를 키워나가는 것입니다.
보상 시스템을 만들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흥미를 찾을 수 있도록 주제와 관련된 흥미로운 동영상이나 기사 등을 화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25분 공부 후 5분 정도 휴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공부하는걸싫어한다면 아이가 재미있어하는 놀이나 게임형식을 학습형식으로 하여 배우게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만들기를 좋아하는 아이 인 것 같습니다.
과학 실험이나 코딩 수업, 로봇 만들기 같은 방과 후 수업을 들으면서 아이의 실력을 키워주세요
초등학교 때는 공부를 강요하기 보다는 과학관이나 체험관에 많이 다니면서 경험을 많이 하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