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4.08

세종대왕의 훌륭한 업적 중 한글창제는 어떠한 과정 끝에 만들어진건가요?

한글을 몰라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안타까워하면 한글창제에 몰두하셨다고

어려서 배운 것 같습니다. 훈민정흠에서도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거 같아요.

집현전 학자들과 어떤 과정을 거쳐서 위대한 한글이 완성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은 조선에서 유일하게 자발적인 양위에 의해 즉위한 왕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즉위 초기에는 아버지 태종이 상왕의 자리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였지만, 이후에는 세종대왕이 정치 경제 문화 군사 등 다방면에서 다양한 업적을 쌓으며 민족문화는 물론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성군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현재까지도 사람들 사이에서 세종대왕은 존경 받은 위인 중 한 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큰 이유는 세종대왕이 쌓은 업적들이 모두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 바로 '애민사상'이 근본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한국 사회에서는 한자를 사용했지만, 한자는 배우기 어렵고 대중에게 불편했습니다. 특히, 소통에 불편을 겪는 서민들은 더욱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문자를 만들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이를 통해 백성들의 문화적 향상과 사회 발전을 도모하려 했습니다. 훈민정음은 소리나는 대로 글자를 쓰는 '음운학적 표기법'을 기본 원리로 삼았습니다. 또한, 글자의 모양을 입과 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은 '어진사(御筆史)'라는 기록에 따르면, 자신이 직접 문자를 만들겠다고 선포하였습니다. 그 이유로는 복잡한 한자 대신 간단하면서도 논리적인 문자 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세종 28년(1446년)에 훈민정음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당시 집현전의 학자들이 이 작업을 맡았으며 개발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