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중도퇴사자 차감징수세액 종소세 신고시 원천징수상 결정세액에 더해서 기재 하면 안되나요
이번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서 차감징수세액이 - 로 존재 한다는걸 처음 확인 했습니다
22년에 A회사 퇴사 후 이직-> B회사 퇴사 루트라서요
A회사 퇴직할때는 퇴직금에 포함하여 차감징수세액을 돌려 받은 듯 하고
B회사는 권고사직으로 퇴사하여 퇴직금이 아닌 2개월 급여 +@를 받고 퇴사 하였는데
지금 보니 차감징수세액이 - 로 떠 있어서요 급여명세서에도 그런 내용은 없었고
급여가 증액 되었다거나 했던 내용도 없던데 B회사로 요청 하니 퇴사할때 준 2개월급여+@를 가지고
그정도 줬으면 다 준거 아니냐 라는 식으로 말을 하는데 종소세 신고할때 기납부로 잡고 신고 해도 별탈 없나요
노동부 신고를 말씀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게 그렇게 쉬운건 아니라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차감징수세액이 마이너스 금액이라면 이는 회사가 이미 국세청으로부터 해당 금액을 받은 것이고 근로자에게 마지막 급여 지급 시 같이 지급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를 실제로 납세자가 받지 못하였다고 하여 임의로 기납부세액으로 기재할 수는 없으며, 회사와 협의해야할 사항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