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샐 틈이 없다는 표현에서 물 샐 틈은 어느 정도인가요?
물 샐 틈이 없다라는 관영어구가 있습니다.
물 샐 틈은 도대체 어느 정도인가요?
물분자보다 작으면 당연히 통과 못 할 것 같은데 말이에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물샐틈이 없다고 하는것은 말그래도 물이 샐틈이 없을 정도로 꽉 막혀 있다는것으로 이해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꽉 막혀 있다는것을 의미 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겟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말그대로 물샐틈도 없다는 관용어구이므로 과학적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우주에는 물분자 보다 작은 분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물분자 보다 작은 산소나 다른 기체분자는 통과할수있지 않을까요~?
답변이 도움되셨음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샐 틈이 없다는 관용어구는 일반적으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아주 작은 공간이 없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물 분자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물 분자의 크기는 약 0.3나노미터로 아주 작은 크기입니다. 따라서 물 샐 틈이 없다는 표현에서는 이보다 더 작은 공간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물 분자보다 더 작은 공간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노 기술을 이용하면 물 분자보다 더 작은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 분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는 물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액체 상태의 물은 공간이 더 넓어지기 때문에 물 분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도 더 넓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 샐 틈이 없다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물 분자보다 더 작은 공간이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물 분자보다 더 작은 공간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물의 상태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분자의 크기는 180pm(천팔백억분의 일 미터) 이기 떄문에 물샐틈이 없다는 폭은 이정도이지 않을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샐 틈이 없다"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물이나 액체가 특정한 공간이나 구멍을 통해 새어나가지 않는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물이나 액체의 흐름을 막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이며, 말 그대로 물분자보다 작은 공간이라도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