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어린복어164
어린복어164

임신16주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이 궁금한데요

성별
여성
나이대
37

임신9주부터 가래가 생겼는데요

역류성식도염도 가래가 생기나요

뱉어지지않고 삼켜지지 않는 끈적한 가래요 ㅠ

그런데 역류성식도염 증상인 속이 쓰리거나

타듯이 그런건 없고 목이 쓰리거나 그런증상도 없어요

역류성식도염이 심하면 백혈구수치도 오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은 작열감 가슴주변이 타는듯한 통증으로 표현되는 증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중 하나입니다. 위식도역류질환과 위염을 악화시키는 인자로는 크게 두가지 원인이 있을수 있습니다. 위에서 식도로 내려가는 조임근이 약해져 강한 산성의 위액이 식도를 자극하는것과 위벽을 자극하는 요소인 흡연 음주 매운음식 짠음식 등이 위산분비를 촉진시키는 경우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백혈구수치증가와는 무관합니다.

    • 안녕하세요.

      목에 가래가 걸리는 가장 흔한 원인은 역류성식도염 보다는 비염으로 인한 후비루

      증상으로 보입니다. 임신 중 알레르기 증상이 잘 발생할 수 있으며 콧물은 양이 많지

      않은 경우, 주로 목 뒤로 넘어가게 되어 목에 걸리는 느낌을 받게 되며 이는 매우

      흔한 증상의 하나이나 임신 중으로 약제 복용이 어려울 수 있어 따뜻한 물이나

      음료수가 도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가래가 동반되고 백혈구 수치가 오르며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전형적이지 않다면 역류성 식도염보다는 기관지 질환 및 감염증을 생각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시어 가래검사 및 코로나19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이 있을 경우에 목의 이물감, 가래 증상이 충분히 발생 가능하며 심할 경우 기침 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역류성 식도염이 심하다고 하여 백혈구 수치가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입덧으로 인한 증상으로 보입니다.

      역류성 식도염때문에 백혈구 수치가 오르진 않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으로 백혈구 수치 오르지 않습니다.

      끈적한 가래의 경우 역류성 식도염 외에 다른 질환 가능성이 더 높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위식도역류질환 (역류성 식도염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가슴쓰림, 답답함, 속쓰림, 신트림, 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 목소리 변화, 가슴 통증과 같은 불편한 증상을 일으키거나, 심해지면 합병증까지 생기며 증상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적인 질환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이 있더라도 혈중 백혈구수치의 상승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임신중으로 약물 치료가 어려운 경우 생활습관 교정을 통해 치료해 볼 수 있습니다.

      1) 과식하거나 기름진 음식, 탄산음료, 커피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하부식도로 위산이 올라오는 것을 막기 위해 머리 쪽을 높인 상태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식후 바로 눕지 않도록 하며 취침 전 음식섭취는 피하도록 합니다.

      4) 술이나 담배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몸에 꽉 끼는 옷은 위 압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6) 비만인 경우 체중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의학박사 곽성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1. 과식이나, 소화불량으로 인한 위 내용물 정체, 위액 분비 과다 등으로 위속 내용물이 증가하면, 식도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눕거나 구부리는 자세로 인해 위 내용물이 식도 가까이에 위치하면 역류가 잘 일어납니다.

      2. 비만, 임신, 등으로 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거나, 복대 착용, 잦은 기침 등으로 복압이 증가하면 역류가 잘 일어납니다.

      3. 위와 식도 사이에 있는 괄약근은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근육의 압력이 줄어드는 문제가 생기면 역류가 잘 일어납니다. 괄약근의 압력은 대개 기름진 음식, 음주, 흡연에 의해 감소합니다. 커피, 초콜릿, 박하, 오렌지주스 등의 음식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쓰림과 위산 역류 증상입니다. 

      1. 가슴쓰림 - 대개 명치끝에서 목구멍 쪽으로 치밀어 오르는 것처럼 흉골 뒤쪽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을 말합니다. 보통 ‘가슴이 쓰리다, 화끈거린다, 따갑다, 뜨겁다’ 등으로 묘사합니다.  

      2. 위산 역류 - 위액이나 위 내용물이 인두(식도와 후두 사이)로 역류하는 현상을 말하며 시고 쓴맛을 호소하게 됩니다. 대개 많은 음식을 먹은 후, 혹은 누운 자세에서 쉽게 발생합니다. 일부 위식도 역류 질환 환자는 협심증으로 오인할 정도의 심한 흉통을 호소합니다. 

      3. 삼키기 어려움 (연하 곤란), 삼킬때 통증 (연하통), 구역질

      4. 이외에도 만성 기침이나, 후두염, 쉰목소리 등의 증상도 드물지만 나타날수 있습니다.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치료 기본 원칙은 생활 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과식을 피하고, 밤참이나 야식을 피합니다. 식사 후 바로 드러눕지 않습니다.

      2.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는 기름진 음식, 술, 담배, 커피, 홍차, 박하, 초콜릿 등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3. 식도 점막을 직접 자극하는 음식인 신 과일 주스, 토마토,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등)를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4. 비만인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합니다.

      5. 복압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몸에 끼는 옷을 입지 말고, 일상생활 중 몸을 숙이는 행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야간에 역류가 심한경우 취침 시 침대의 상체 부분을 6~8인치 정도 올려서 자는 것이 좋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되면 제산제, 위산분비 억제제, 장운동 촉진제 등의 약제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약물 치료는 보통 수개월간 인내심 있게 시행해야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역류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전문의사와 상담후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약해진 하부 식도 괄약근을 강화시켜 주기 때문에 완치가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목에 이물감이 있는 경우에 역류성 식도염일 가능성도 있답니다. 식도염은 임산부에서도 흔하게 유발되지요. 배가 점점 부르면서 증상은 더 심해지구요. 특별히 속쓰림이 없어도 가능성은 있습니다. 다만 백혈구 수치가 오르는 것은 아닙니다. 임신 중에는 백혈구 수치가 약간 올라갈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