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상냥한메뚜기254
상냥한메뚜기254
22.11.30

물이 모이면 파랗게 보이는 이유

물이 적게 모여있으면 투명한 색으로 보이지만 물이 많이 모여있으면 왜 파랗게 보이나요? 이해하기 쉽고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22.11.30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산란시키고 푸른색 빛을 내보내게됩니다. 인간은 해당 파장을 푸른색으로 인지하게됩니다.


    해당현상은 물분자가 가지고있는 고유의 빛 산란특성이기 때문에, 왜 파란색인지에대한 근본적인 이유는 알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1.30

    하늘의 파란색이 울에 비치는 것입니다.

    지구에서 파랗게 보이는 부분은 대부분 바다 입니다.

    저수지, 바다등 많은 물이 있는 물표면에 하늘빛이 반사되어 파랗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색상은 물체가 반사하는 색상입니다.

    물이 파란 이유도 이와 같습니다.

    물을 통과하는 빛이 산란하며 파란계열의 색상을 반사하고 다른 색상은 흡수하기 때문에 반사되는 파란 색상계열로 보이는 것입니다.

  • 물이나 바다가 파란 이유는 빛의 반사, 굴절 때문입니다.

    수심이 깊은 물이나 바다를 통과하는 빛은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이 안쪽으로 흡수되어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만 표면으로 반사되어 우리 눈에 파랗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나 수영장물 등 물이 많이 모여 있을 경우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은 투과가 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산란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물 분자와 빛과의 상호작용으로 빛의 경로가 뒤틀리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파란 빛이 물분자에 산란되어 여기저기 튀다가 수면밖으로 나와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