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이 벌어지고 광복되는데 오래 걸리지 않았나요?
3.1운동은 1919년에 한 운동으로 알고 있는데.
그 후 25년이 지나서야 광복이 됐음에도 3.1운동을 그렇게 높게 평가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직접적으로 광복과는 관계가 없는 것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3/1 운동이 일어날 당시 우리나라는 아직 왕이 통치를 하고 있는 나라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제 치하에 있었으니 3/1 운동 당시에 선언한 정의과 자유를 통한 민주주의 국가를 만들어 내고 국민 투표를 통해 대통령을 뽑는 다는 개념 자체가 존재 하지 않았습니다. 3/1 운동을 통해 학자와 지식인만 가지고 있던 이 개념이 전국적으로 퍼져가면서 민주주의 국가 설립의 이념을 가진 독립의 씨앗이 뿌리내리게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는 우리나라 3.1만세운동의 기폭제가 되었고 중국의 5.4만세운동을 촉발시켰습니다. 1919.3.1일 3.1만세운동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조국해방이 이뤄진 것이라고 봅니다. 나라 잃은 사람들의 고통이 가슴속에 응어리져
해방에 대한 꿈을 갖게한 계기로 보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05년 을사늑약 조약후 1910년 마침내 한일병합조약을 맺음으로 모둔 주권이 일본에게 넘어갑니다.
이후에 수많은 독립운동이 있었습니다. 일본은 이를 무력으로 제압하고, 완전한 식민지화를 위해 무단통치를 감행했습니다. 무력으로 압제하려고 하였지요.
1919년에 일어나 3.1운동은 그러한 악조건에서 일어난 민족운동이었습니다. 3.1 만세 운동으로 나라를 되찾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무력으로는 짓밟히지 않는다는 민족성을 여실히 보여줬습니다.
이로인해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한국민의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하는 계기가 되었고요, 일제는 무단통치로는 안된다는 걸 알고, 문화통치로 바꾸게 됩니다.
우리 민족 스스로도 민족의식과 민족정신에 새로운 자각을 하게 되고, 교육의 진흥, 신문예운동이 활성화되고,민족 자립의 기초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든 일이 하루 아침에 이루어 지는 것은 없습니다. 비록 1919년 3월1일 삼일 운동이 바로 독립엔ㄴ 영향을 주지 못한것으로 보이지만 적어도 3.1운동으로 인해 민족 정신이 살아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고 일제도 식민지 통치 방식을 무단 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바꾸는 등 새로운 통치 방식으로 바꾸게 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