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22.09.29

한국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낮으면 어떻게 되나요?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 기준금리보다 더 높다는 뉴스를 보았는데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에는 어떠한 현상이 벌어지나요?

어떤 점이 좋고 어떤 점이 안 좋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낮게 되면 발생하는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이에 앞서서 한국의 기준금리가 낮은 경우에 발생하는 것은 달러환율의 상승이라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한국의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낮게 되어 환율이 상승하게 되며 환율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 장점으로는 수출기업의 수출실적이 단기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누리게 됩니다. 단점으로는 국내 수입 원자가격이 상승하게 되면서 원자재가 유통되는 가격이 상승하며 국내에는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환율상승으로 인한 수출기업들의 수출실적 상승이 크게 효과가 없는데요. 그 이유는 모든 국가가 경기침체에 빠져있어서 수출기업들의 수출가격이 낮아져도 이 제품들을 구입해줄 사람들의 수요가 감소하게 되어서 수출실적 증가의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만 부탁드릴게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기준금리는 3.25%이고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2.5%입니다. 따라서 0.75%금리 역전차가 발생되어 이는 외화자본이탈 우려 발생이 커짐에 따른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0.5% 추가 인상을 검토하는것으로 보고 있어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은 예,적금 및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보다 우리나라가 기준금리가 낮다면

    아무래도 해외자본이 국내를 빠져나가 이탈할 가능성이 커지며

    원달러 환율이 더 높아질 우려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거시경제 흐름상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기준금리가 높아야만이

    해외자본 등을 유치하는데 도움을 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