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4.04.08

고구려나 백제는 신라의 향찰 같은 것이 없었나요?

신라의 경우 향찰표기로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적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고구려나 백제에서 자기들만의 표기법이 있었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신라의 향찰표기 같은 것이

고구려나 백제에는 존재하지 않았나요?

고구려와 백제는 어떤 방식으로 글을 표기를 한 것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말의 표기는 고유명사나 단편적인 단어표기에서 발생해 이두, 구결, 향찰의 순서로 발달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향찰은 차자표기법 중 가장 발달한 표기법인데 고구려에서 발생한 초기 이두문인 변체한문이 신라로 전해져 신라에서 한자를 우리말 어순으로 배열하는 문체가 사용됐다고 합니다. 그 후 7세기경에 한문에 토를 다는 구결이 발달했고, 향찰은 구결과 우리말 어순의 이두가 접합된 형태로 보인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두 표기법은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6세기 말 이후 차자 표기법이 정체 또는 퇴조하였고, 신라에서는 6세기 말부터 7세기로 접어들면서 표기법 상의 큰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특히 신라에서만 이두가 발전한 이유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는데, 국어학계 일각에서는 무열왕이 즉위한 7세기 중반까지 당나라의 서신에 쓰인 한문을 해석할 수 있는 지식인이 드물었다는 삼국사기의 서술을 바탕으로, "고구려나 백제에 비해 한자를 100여 년 늦게 도입한 신라는 상대적으로 한문 이해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자국어 표기를 발전시킨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반면 역사학계에서는 오랫동안 구두 전달 위주로 행정 명령을 내린 신라의 특수성이 한자 도입 이후 문서에도 반영되어 구어체를 살릴 수 있는 이두 개발로 이어졌다는 주장이 있으며, 월성 해자 목간 등에서 발견되는 이두의 내용과 어휘를 살펴보면 일상적인 구두 전달 체계를 자세히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