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두 표기법은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6세기 말 이후 차자 표기법이 정체 또는 퇴조하였고, 신라에서는 6세기 말부터 7세기로 접어들면서 표기법 상의 큰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특히 신라에서만 이두가 발전한 이유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는데, 국어학계 일각에서는 무열왕이 즉위한 7세기 중반까지 당나라의 서신에 쓰인 한문을 해석할 수 있는 지식인이 드물었다는 삼국사기의 서술을 바탕으로, "고구려나 백제에 비해 한자를 100여 년 늦게 도입한 신라는 상대적으로 한문 이해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자국어 표기를 발전시킨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반면 역사학계에서는 오랫동안 구두 전달 위주로 행정 명령을 내린 신라의 특수성이 한자 도입 이후 문서에도 반영되어 구어체를 살릴 수 있는 이두 개발로 이어졌다는 주장이 있으며, 월성 해자 목간 등에서 발견되는 이두의 내용과 어휘를 살펴보면 일상적인 구두 전달 체계를 자세히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