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5.10

일제 강점기 시대에도 대중가요가 있었다고 하는데, 어떤 장르였나요?

일제 시대에도 대중 가요가 일본에서 한반도로 건너와서 대중가요가 있었다고 하며,

지금의 트로트와는 다르다고 하는데,

어떤 장르였나요?

이 시기에도 유명했던 가수가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 강점기 당시 창작곡들의 특징으로는 3박자의 민요풍으로 민중들의 애환을 담은 곡들이 많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0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강점기 대중가요는 일본 엥카 양식의 트로트와, 민요의 어법을 계승한 신민요의 두 양식이 주를 이루었고, 재즈송으로 통칭되는 서양식 노래는 수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해방 후 미국 대중음악이 직접 유입되어 그 영향을 받은 7음계나 스윙, 탱고, 블루스, 부기우기, 맘보 등 리듬을 지닌 작품들이 1950년대 중반부터 크게 늘어나게 된다. 「서울야곡」은 이러한 흐름의 맨 앞에 서 있는 작품으로 탱고 리듬을 잘 살리면서도 유려하게 다듬어진 선율이 돋보이는 노래이다. 작곡자 현동주는 이 노래를 부른 현인의 본명으로, 일제강점기에 일본과 상해에서 음악을 배우고 활동한 경력을 지닌 현인의 음악적 역량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현인은 1950년대에 가장 인기를 모은 가수로, 트로트와 서양식 대중가요 양자를 두루 잘 소화한 가수였다.

    가사는 방송극작가이자 작사가인 유호의 것으로, 충무로, 명동, 종로네거리 등 서울에서 가장 화려한 거리의 야경을 3절에 걸쳐 그려낸다. 쇼윈도에 흐르는 빗물, 버려져 흩어진 꽃다발, 버려졌으나 여전히 연기가 피어오르는 담배, 코트 깃을 올리고 비를 맞으며 걸어가는 남자 등의 이미지로 도시적인 감상성과 우울함을 드러내며, ‘쇼윈도 그라스’, ‘네온’, ‘마로니에’, ‘레인코트’, ‘바가본드’ 등 외래어의 잦은 사용으로 서울거리를 실제보다 훨씬 더 서양적인 질감으로 느끼게 만든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야곡 [─夜曲]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강점시 시대 대중가요는 트로트, 신민요, 만요, 재즈의 4개로 구분됩니다.

    신민요는 상업성을 띤 민요로 박종기의 진도아리랑이 있으며, 만요는 연민을 유발하는 해학적 성격과 공격성을 띤 풍자적 성격을 가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강점기 초에 일본에는 막 서양의 음악이 유입되고 있었습니다. 일본이 우리나라에 서양음악을 전수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선 그것을 '창가'라고 불렀습니다. 그 후 창가의 여러 변형된 형태가 등장했고 그것이 대중가요의 시초였습니다. 초기에는 국악적인 창가도 적지 않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창가의 비중이 늘어났습니다.


    독립이후, 창가는 당시 우리나라에 적잖이 알려졌지만 대부분 지식인층에 알려진 것이었고, 대부분의 국민들은 창가를 부를줄만 알았지, 창가가 무엇인지는 잘 알지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해방이후 나름(?) 민주주의 공화국이 세워지면서 중산층에도 창가가 자세히 알려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독립이후에 미군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었는데, 그때 대중음악이 처음으로 국내에 등장했습니다. 미국의 대중음악은 국가, 오페라, 연극, 동요등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음악을 일컫는 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로 넘어오면서 적잖은 변형이 이루어졌고, 이 대중음악은 초기에는 별로 좋지못한 이미지를 가지고 들어왔습니다. 1970년대에 청년들 사이에서 대중음악이 유행하긴했지만, 그뿐이었습니다.


    대부분의 국민들을 대중음악에 대해서 '질낮은 음악'정도로 알고있던 것입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이르러 서울대에서 국악과 산하에 실용음악과를 처음 만들었던 것이 한국 대중음악의 시작이었습니다.초기에는 국악과의 융합을 위해 만들어진 학과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국악과의 융합보단 대중음악 그 자체의 비중이 커졌습니다. 그러다가 1990년대에 여러 대학에 실용음악과가 개설되고 여러 유명 가수들을 대거 배출하면서 대중음악의 인지도와 인기도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졌습니다. 이렇게 한국 대중음악, 즉 K-pop은 자기만의 특징을 가지기 시작했고, 21세기에 이르러서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지금의 K-pop이 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