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의료 보험

종종역동적인해파리
종종역동적인해파리

건강검진에서 내경동맥 협착 의심소견 받은 후, 3개월 뒤 보험가입시 진단,수술 보장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저는 95년생 여자이고, 올해 3월 건강검진을 받은 후 나온 결과 소견서 입니다.

폐기종, 갑상선 낭종, 동서맥, 내경동맥 협착 등등.. 모든 소견은 이번에 처음 알게 된 것들이에요.

위 질병들로 실비를 청구하거나 진료받은 이력도 없고, 고지혈증과 같은 기저질환도 없으며 혈압 피검사는 모두 정상입니다.

이 중 [내경동맥 협착 의심소견]은 신경외과 진료 권유를 받았는데요. 현재 10여년전 가입한 어린이보험과 실비보험만 있어서 뇌혈관,심혈관 보장이 안되는 상품이다보니 리모델링을 하고 나서 재검사를 받아보고 싶어요.

여러 설계사분들께 여쭤보니 대부분의 설계사분들은 아직 추가검사(재검사)를 받지 않은 상황이니 3개월 뒤면 고지의무사항이 아니기때문에 가입이 가능하고 보장도 다 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또 몇몇 설계사,손해사정사 분들은 고지의무사항이 아니여도 보험사에서 진단비 청구시 조사를 나오면 그 전 건강검진이력도 확인해서 의심소견이라도 보험금을 못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저도 후자의 경우가 맞는듯 해서 걱정이 됩니다. 보험사가 바보가 아닌이상 확인을 해보지 않을까요 ㅠ?

내경동맥 진단비는 받으면 좋지만 그것보다는 나중에 혹시 모를 수술을 하게되거나 심혈관쪽의 문제가 발생하면 그때는 보장을 좀 받고싶어서 가입하는목적이 더 크거든요.

내경동맥 협착 재검사 부분을 제외한 다른 궁금증은,

갑상선낭종, 폐기종, 치밀유방 등은 의심소견이 아닌 확진이기때문에, 고지를 하고 유병자용으로 가입해야하는거죠?

이부분을 고지 하게되면 이번에 받은 건강검진 소견을 바탕으로 고지하는건데, 그럼 같이 나와있는 내경동맥 의심소견은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약 1년전 24년3월 25일쯤 자궁경부확대촬영검사를 했다가 조직검사 권유를 받아서 검사 후 cin1 진단이 나왔었는데, 이번 건강검진 확대촬영검사에서는 정상이 나왔거든요.

정상으로 바뀌긴 했지만 진단이 나왔던 부분이라 이 부분도 가입할때 문제가 될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9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