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헌신하는꽃새135
헌신하는꽃새13524.03.02

공유기 만질 때도 감전의 위험이 있나요?

랜선을 새로 만든 뒤 공유기에 테스트하고 손을 닦고와서 물기는 없지만 습기있는? 손으로 공유기에서 랜선을 빼는순간 정전기 비슷하게 빡! 하고 손에 전기가 튀었습니다.


혹시 몸에 문제가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습기가 있는 손으로 공유기

    랜선을 뽑았을 때 전기가

    튀는 이유는 정전기 때문입니다.

    정전기는 서로 다른 물체

    간에 마찰이 발생하거나

    접촉 후 분리될 때 발생하는 전기 현상입니다.

    랜선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고 플라스틱은 마찰을

    통해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물질입니다.

    습기가 있는 손은 건조한

    손보다 전도성이 높아 정전기를

    더 쉽게 발생시키고 전달합니다.

    공유기 랜선을 뽑을 때 랜선과 손이 서로

    마찰되고 분리되면

    서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랜선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의 전압은

    낮지만 짧은 순간에 높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불쾌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랜선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일반적으로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심장 박동기와 같은

    의료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정전기는 의료 기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랜선을 뽑을 때는 건조한 손으로 잡아야 합니다.

    습한 환경에서 랜선을 사용하는 경우

    랜선을 만지기 전에 금속 물체를 만져

    정전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의료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랜선과 의료 기기 사이에 충

    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공유기를 습기가 적은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랜선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랜선을 뽑아 보관해야 합니다.

    옷이나 신발에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소재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정전기는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정전기를 예방하기 위해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정전기 방지 스프레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공유기를 자주 만져 보는 사람으로 렌선을 꼽거나 뺼때 전기를 느낀적은 없습니다. 몸에 문제되지는 않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댑터와공유기사이 수분이나 습기를타고 방전이 이루어진것을 느낀것 같습니다.

    공유기는 필요전압이나 전류량이 높지 않아 전압이나 순간전류량이높지는않고 위험성이 적긴하지만 과전류의 위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