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견실한할미새28
견실한할미새2824.03.24

주택 담보 대출 관련해서 궁금합니다

현재 거주지 : 전세 (만기 24년 7월)

부모님 명의 집(경기도) 거주 예정 : 24년 7월 ~ 26년 1월

청약 당첨 주택 : 입주 예정 26년 1월 (현재 중도금 대출 3차 실행 완료)


부모님은 현재 시골에서 거주 중 (주소지 이전 완료)

부모님 명의 경기도 집에서 현재 동생(세대주)이 혼자 살고 있음


부모님 명의 집(경기도)에 동생과 저희 가족(3명)이 쳥약 주택 입주전까지 같이 살려고 합니다. 동생과 같이 거주 할 경우 세대주는 저로 변경 예정


1. 청약 주택 입주시 보금자리론 or 주택담보대출 받을때 저 또는 부모님께 불이익이 되는 부분이 있을까요?


2. 세금 관련해서도 부모님이나 저에게 불이익이 되는 부분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다른 부분에 대한 우려사항이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담보 대출에 관심이 있으시군요!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보겠습니다.

    청약 주택 입주시 보금자리론 or 주택담보대출:

    보금자리론은 주택을 구입한 후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방식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은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방식으로, 주택을 구입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둘 중 어떤 방식을 선택하더라도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대출 상환 조건과 금리를 비교하여 적절한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세금 관련: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발생하는 세금은 주로 인지세와 국민주택채권매입비용입니다.

    인지세는 계약서 작성 시 납부하는 국세로, 대출 금액 기준에 따라 은행과 고객이 각각 부담합니다.

    국민주택채권매입비용은 주택도시기금법에 따라 국가 또는 지자체에 등기, 등록을 신청하는 자가 매입해야 하는 채권입니다.

    이 비용은 대출 실행일에 정확한 금액이 확정되며, 대출금액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기타 우려사항: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대출 상환 조건과 금리, 그리고 대출한도를 잘 파악하는 것입니다.

    또한, 주택처분조건이 규제 지역 내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실행할 경우, 해당 의무 이행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은행이나 금융기관과 상담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