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대견한저빌98
대견한저빌98

요즘도 뜨고있는 초전도체 어떻게 보시나요

초전도체 요즘도 엄창 얘기가 많은거 같은데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뭔가 이게 진짜 이뤄지려나 싶기도 하고 잘 모르겠네요 어떠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초전도체에 대한 관심은 줄지않고 계속 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상온 상압 초전도체 실현 가능성에 기대를 걸면서도 아직은 검증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 신중한 시각도 공존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기술이 더욱 진보한다면 기술이 언제가는 상요화될 것이라 생각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초전도체는 최근까지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특히 상온 초전도체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초전도체는 극저온 환경에서만 작동하지만, 상온 초전도체가 개발된다면 전력 송전, 자기부상열차, MRI와 같은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가능할 것입니다. 하지만 기술적, 경제적 난관이 많아 실제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이 필요하며, 최신 동향을 주시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전도체가 갖고 있는 성질 중 가장 주목받는 건 역시 ‘초전도성’입니다. 초전도성은 직류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쉽게 말해 전류를 아무리 흘려 보내도 에너지 손실이 없다는 얘기다. 현재는 발전소에서 가정집으로 전력이 도달하기까지 5% 정도 전기가 사라진다. 에너지 손실 대부분은 ‘열 손실’입니다. 전류가 흘러갈 때 전선 내에서 여러 저항을 받으면서 열이 발생하며 전류에도 ‘마찰열’이 있다고 보면 쉬운데요 미국은 송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이 한 해 22조원에 달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송전 기술을 갖췄다고 평가받는 한국에서도 매년 1조5000억원 넘는 돈이 전력 손실로 사라지는데 이러한 사라지는 전력만 없앤다고 해도 탄소발생은 많이 줄어들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전도체의 현실화는 이론적으로는 어렵죠.

      하지만 기술개발이 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자원고갈을 대비한 인류의 필수 숙제이기도 하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