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통쾌한다슬기196
통쾌한다슬기19623.11.29

사물놀이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사물놀이는 4가지 악기(징,꽹과리, 장구, 북)로 연주하는 풍물에서 취한 가락을 본따서 발전시킨 우리나라의 전통 국악 놀이입니다.

이런 사물 놀이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물놀이는 농민들이 하던 풍물에서 유래하였고 풍물패의 긴 대열은 앞치배와 뒤치배 등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때 앞치배란 꽹과리, 소고, 장구, 북등과 같은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을 말하고 뒤치배는 양반이나 각설이 등의 복장을 하고 춤을 추는 사람을 말합니다. 사물놀이는 앞치배에서 4개의 악기를 빼서 새롭게 구성한 음악으로 4개의 악기는 꽹과리(쇠), 장구, 북,징을 말합니다. 그리고 풍물은 모두 서서 연주하고 현란한 춤이나 다른 개인기들이 동원되는 것에 비해 사물놀이는4개의 악기를 가지고 4명이 앉아서 풍물 가락을 연주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물놀이가 현재의 형식으로 태어난 것은 1978년의 일이며사물놀이는 농민들이 하던 풍물에서 유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물놀이는 농민들이 하던 풍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풍물패의 긴 대열은 크게 앞치배와 뒤치배 등 두 부분으로 나뉘며 이때 앞치배는 꽹과리, 소고, 장구 , 북 등과 같은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 뒤치배는 양반이나 각설이 등의 복장을 하고 춤을 추는 사람을 말합니다

    조선 후기 성장한 유랑예인집단인 남사당 은 여러 연희 과정 가운데 풍물놀이를 포함했습니다.

    70,80년대 청년 대학생 및 운동권 지식인 사이 민족문화재발견의 바람이 불어 일부 젊은 국악인들은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보이며 다양한 시도를 접목, 이것이 1970년대 또 하나의 문화운동인 소극장 운동과 접목되면서 민속악회 시나위가 창설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물 놀이는 원래 우리 전통 국악 이지만 그것을 체계적으로 발저 시킨 것은 사물(꽹과리, 징, 장구, 북)을 중심으로 연주하는 풍물에서 취한 가락을 토대로 발전시킨 계열의 국악이며, 1978년 2월 28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간사랑에서 김용배가 제안 구성하고 심우성이 이름을 지어 제안한 《사물놀이》 풍물패에서 연주를 한 것이 사물놀이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물놀이는 사물(꽹과리 징 장구 북)을 중심으로 연주하는 풍물에서 취한 가락을 토대로 발전시킨 계열의 국악이며 1978년 2월 28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간사랑에서 김용배가 제안 구성하고 심우성이 이름을 지어 제안한 《사물놀이》 풍물패에서 연주한 것이 사물놀이의 시작입니다. 이들은 기존의 풍물놀이에 비해 앉은반으로 풍물가락을 실내 연주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습니다. 주로 호남풍물 짝드름 웃다리풍물 설장구놀이 영남풍물 등을 연주합니다. 흔히 꽹과리 소리는 천둥 징 소리는 바람 장구소리는 비 북소리는 구름에 빗대어 말하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