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도덕적인양300
도덕적인양30020.09.07

접종을 해도 간염항체가 왜 안생길까요?

간염 접종을 했어요.

그럼에도 항체가 생기지 않아서 몇년뒤에 또 접종을 했는데 여전히 항체가 없습니다.

이럴경우 항체가 생길때까지 또 접종을 해야하나요?

아니면 그냥 없는체로 살아도 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B형 간염 백신을 3회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지 않으면 무반응자,
    추가로 3회 접종 후에도 항체가 없다면 완전 무반응자에 해당되고,
    접종하신 분들 중 약 5% 미만에서 발견됩니다.

    단, 접종 1-2개월 후에 항체검사를 하는 것이 정확하기 때문에
    만약에 접종하고 시간이 많이 지난뒤에 항체검사를 하셨다면,
    생겼던 항체가가 낮아져 검사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완전 무반응자는 더 이상의 접종을 권장하지 않고,
    B형간염에 노출될 경우 감염될 위험이 높으므로
    적절한 조치(B형간염 면역글로불린)를 받으시도록 안내를 드립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B형 간염 예방접종을 해도 항체가 잘 생기지 않는 경우가 많답니다. 대략 5~10%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구요. 3차례의 예방접종을 2회, 그러니깐 6번이지요. 시행하였어도 항체가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예방접종을 권하지는 않는답니다. 예전에 예방접종을 하고 나서 항체가 생겼다가 수년이 지나서 다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는 항체는 기준치 보다는 낮지만 면역력이 전혀 없다고 보지는 않는답니다. 항체가 생기지 않으면 그냥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검사 상 B형간염 항체가 없다고 나오면 재접종을 하는게 좋으나 반면 항체가 생긴 것을 한 번이라도 확인한 건강한 사람은 다시 예방접종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건강한 사람이라면 항체가 줄었어도 몸은 한 번 생긴 항체를 기억해 B형간염 바이러스를 물리칠 수 있기 때문입시다.

    재접종을 해도 항체가 안 생긴다면, 원래 항체가 생기지 않는 유형이며, 이런 사람은 B형간염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게 최선입니다. .B형간염은 주로 혈액으로 옮기 때문에 수혈 과정에서 주의해야 하며 만약 B형간염 환자의 혈액에 노출됐다면 12시간 내에 면역글로불린(항체 작용을 해 주는 단백질) 주사를 맞으면 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은 성인이 되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우는 드물며 감염되어도 만성 B형간염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많지 않아 항체가 없으셔도 너무 걱정할 필요없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