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건강보험료 계산은 어떻게되나요?
은퇴후 직장을 다니지 않으면 지역건강보험료가 나오는것으로 아는데 자산이 많으면 보험료가 더 많이 나오나요?
남편 명의로 2채(5억+5억)가지고 있는것보다 남편 1채(5억), 와이프 1채(5억)면 건강보험료가 줄어들까요?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만 자산이 아닌 세대원 모두 합산 자산으로 산출 합니다.
두 채를 배우자로 각각 나누어도 동일 합니다.
자녀가 있다면 자녀 밑으로 피부양자 등재 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은퇴 후 소득이 연간 1,000만원이 넘지 않아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지역의료보험에 가입이 되시면 재산과 소득에 따라서 보험료가 결정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험료를 산출하여 고지합니다 같이 사시는 배우자 명의 재산도 합산되어 나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지역건강보험료는 세대 전체 자산과 소득을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부부가 각각 1채씩 소유하든, 남편이 2채를 소유하든 보험료 차이는 크지 않으며, 재산이 많아질수록 보험료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피부양자 등록이나 세대 분리도 고려할 수 있지만, 부부는 세대 분리 인정이 어려우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지역가입자의 건보료 여러 요소에 따라 보험료 점수가 부과되고 그에 따라 부과점수 금액을 곱하여 산정됩니다.
지역가입자 가입자의 소득이나 재산, 자동차 등의 기준으로 정한 점수를 합산하여 점수에 금액을 곱하는데, 아래방식으로 계산됩니다.
[ 부과요소별 부과점수【소득+재산(전월세 포함)】 × 부과점수당 금액(208.4원) ]
안녕하세요. 강성훈 보험전문가입니다.
혹시 지역가입자의 피부양자 자격이 되신다면 피부양자 들어가시며 그대로 둠이 좋구요
각각 지역가입자 이시면 재산공제 1억 추가로 받고 구간도 낮출수 있으니 분리하심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면 1주택이나 2주택이나 지역보험료는 동일합니다.
즉, 남편분 2채나 남편분 1채 + 배우자분 1채나 동일합니다.
추가적으로 세대분리를 하면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부부는 세대분리가 인정되지
않기에 의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