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Bevet
Bevet

번뇌가 몇개가 있는지 종류가 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일본 해적만화 보면 거기서 검 3개 쓰는 주인공이 기술 외칠 때

36번뇌

108번뇌

이런것을 쓰는 것을 봤는데요

이런 번뇌의 구체적인 숫자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번뇌가 뭐가 있는지도 알려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번뇌는 근본적으로 자신에 대한 집착으로 일어나는 마음의 갈등을 나타내는 불교심리용어입니다.

      불교에서는 괴로움의 근본 원인이 욕심과 성냄과 어리석음에 있다고 보아 이를 3가지 독이라 하며 이것은 또한 우리의 인식기관인 눈, 귀, 코, 혀, 몸, 뜻의 6가지 문을 통해 항상 흐르는 번뇌에 의해 마음은 산란되고 갈등을 느낀다고 합니다. 불교경전에서 이 번뇌의 다른 표현으로 미혹함, 잠듦, 물듦, 흐름, 얽매임 등을 사용하고 이에는 모든 괴로움의 근본이 되는 탐욕, 성냄, 어리석음 등의 근본번뇌와 이에 따라 일어나는 게으름, 불신, 경망스러움, 교만 등 20가지 정도의 수번뇌가 있으며 불교의 이상은 이러한 번뇌를 극복함으로 평온한 열반의 경지에 다다른다고 봅니다.

      이런 번뇌 종류가 수없이 많음을 팔만사천번뇌라 하며 6가지 감각을 중심으로 삼세에 걸친 3가지 선택지로서 계산한 108번뇌는 보다 철학적으로 정리된 번뇌로 알려져있습니다.

      대승불교에서는 번뇌가 바로 깨달음이라 하여 번뇌의 성품이 비었음을 깨우치는 것이 번뇌를 근본적으로 극복하는 방법의 첩경임을 설명하고 수많은 번뇌 가운데서 깨우치는 대승적 해결로 초기 불교에서의 번뇌에 대한 여러가지 분류와 이의 세세한 대치보다 마음의 걸림 없음을 통해 보살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나갑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번뇌는 원래 불교에서 온 말인데여. 중생의 심신을 혼돈시키고 불교의 이상을 방해하는 장애를 의미하는 불교 교리 입니다. 번뇌라 함은 능히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能令心煩] 괴롭히기[能作惱] 때문에 번뇌라 한다고 하지요. 번뇌에 두 가지가 있으니, 내적인 집착[內著]과 외적인 집착[外著]인데요. 내적인 집착이란 다섯 가지 견해[五見]와 의심[疑]과 교만[慢] 등이요, 외적인 집착이란 음욕[婬] · 성냄[瞋]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