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23.11.23

CPI가 3%대인데 1년 기대인플레 수치가 4.5%인건 어떤 경제 상황을 설명하는 건가요?

오늘 아침 경제 신문을 읽다가

미국의 미시건대에서

11월에 발표한 1년 기대인플레가 4.5%로 집계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미국의 cpi는 3%대로 알고 있는데

기대인플레 수치가 4.5%가 가능한가?


현재 cpi가 3%대인데 기대인플레가 4.5%인 건 어떤 경제상황일 때 가능한 건가요?


그리고 앞으로 cpi가 더 높아질 수도 있다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그만큼 소비자가 체감하는 인플레이션이 높다는 것이고 이는 앞으로 가격이 더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으면 지금 당장 소비가 늘어나고 미래 경제를 현실보다 더 어렵게 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제 소비자물가지수가 3%이고 1년 기대인플레이션이 4.5%라면, 이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현재의 실제 인플레이션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몇 가지 의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물가 상승 예상: 1년 기대인플레이션이 4.5%로 실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인 3%보다 높으므로, 미래에 물가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물가 상승에 대비하여 소비패턴이나 구매 결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유의미한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경제 정책 조정 가능성: 높은 기대인플레이션은 중앙은행이나 정부에게 경제 정책을 조정할 필요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금융 정책이나 조세 정책 등의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금리 변동 가능성: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을 경우,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경기를 안정시키고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택융자 금리나 대출 금리 등의 금리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나 투자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 전략 변화: 높은 기대인플레이션은 투자 전략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투자 포트폴리오에 인플레이션에 강하게 반응하는 자산 클래스를 추가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이한 향후 물가상승률에 대한 '경제주체'의 주관적 전망을 의미합니다.

    실질적인 수치는 아니고 경제주체의 전망치에 불과하며, 실제 물가를 바탕으로 계산된 지수는 CPI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한다는 의미는 경제주체가 추후에 물가 상승을 전망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다는 것은 향후

    물가가 다 높아질 수 있다는 것으로 시장에서

    이를 반영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 수치가 실제 인플레이션보다 높다는 것은 경제활동을 하는 주체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느끼는 수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인플레이션이 높아진다기 보다는 향후 소비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는 것이에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실제 인플레이션율보다 경제주체들의 인플레 상황을 더 심각하게 본다는 것으로서 이는 실제 경제체감지수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