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해바라기처럼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그 꽃 방향이 따라 움직이는 식물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해바라기는 태양을 따라서 그 꽃이 이동한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해바라기처럼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그 꽃 방향이 따라 움직이는 식물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일중성 운동(heliotropism)은 특정 식물이 태양의 궤적을 따라 꽃이나 잎을 회전시키는 생물학적 현상을 지칭합니다.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는 이 현상이 가장 잘 알려진 예로, 꽃머리가 태양의 이동에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면서 광합성을 극대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는 주로 개화 전의 어린 해바라기에서 관찰되며, 개화 후에는 주로 동쪽을 향한 채 고정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태양을 따라 꽃이나 잎이 움직이는 다른 식물로는 컴패션플라워(Passiflora spp.)가 있습니다. 이 식물들은 열대 지역에서 자주 발견되며, 꽃과 줄기가 태양의 위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하루 종일 태양을 향해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식물의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게 작용하며, 광합성 활동을 최적화하는데 기여합니다.
    샐비어(Salvia spp.)도 유사한 특성을 가진 식물 중 하나로, 꽃이 태양의 위치에 따라 방향을 조절합니다. 이는 식물이 태양 빛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자연적인 적응의 일환으로, 광합성 효율을 높이고 생장 및 번식 능력을 증진시킵니다.

    이러한 식물들의 일중성 운동은 자연 선택에 의해 진화한 결과로, 광합성을 최대화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생태학적 전략입니다. 이 현상은 생물학적 시계(biological clock)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식물이 외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식물은 에너지 획득을 최적화하고, 생존과 번식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네, 해바라기처럼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꽃 방향이 변하는 식물이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향일성이라고 합니다.

    물론 해바라기가 가장 대표적인 예이며, 이 외에도 해바라기과 식물 중 일부와 어린 식물들도 향일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향일성은 호르몬의 결과입니다. 식물의 성장 호르몬인 옥신이 빛을 받지 않는 부분에 더 많이 분포하게 되면서 세포의 신장을 촉진하여 줄기가 빛 쪽으로 굽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해바라기는 24시간 주기의 생체 시계를 가지고 있어 밤에는 서쪽으로 기울고 해가 뜨면 다시 해를 바라보게 됩니다.

    그러나 해바라기는 어릴 때는 태양을 따라 움직이지만, 꽃이 피고 씨앗을 맺을 시기가 되면 동쪽을 향하게 고정됩니다. 이는 벌을 유인하여 수분을 돕기 위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해바라기와 같이 해를 따라 꽃의 고개가 이동하는 식물에는 복수초가 있습니다.

    복수초는 노란색 꽃이 피며, 20~30개의 꽃잎이 수평으로 납니다.

    감사합니다.

  • 해바라기처럼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꽃 방향이 움직이는 식물은 드뭅니다. 대부분의 식물은 자라는 동안 줄기나 잎이 태양을 향하는 태양굴성 현상을 보이지만, 해바라기처럼 성숙한 꽃이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가장 유명한 것은 해바라기이며 헬리오트로피움이라느 식물도 향일성이 있습니다. 또 일부 다육식물에서도 관찰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해바라기는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대표적인 식물로, 이현상을 일주 운동이라고 합니다.

    이와 비슷하게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방향을 바꾸는 식물로 스위트피 와 오이풀도 있답니다.